靑 비서관 인선 더 투명화하는게 옳다(2013.2.27.)
박근혜 대통령이 집무를 시작한 지 사흘째를 맞았지만 청와대 비서관 41명 가운데 아직도 몇 자리에는 누가 보임됐는지 알려지지 않고 있다. 더욱이 개별 인선 내용이 공식 발표되지 않은 채 찔끔찔끔 흘러나오고 있다. 내정된 비서관 상당수는 이미 업무를 시작한 상태인데 청와대는 계속 비공개로 자리를 채워갈 뿐 국민을 이해시킬 만한 설명을 하지 않았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비서관 인사는 공식 발표를 안 하기로 했고 조용히 들어가서 일만 잘하면 되는 것"이라며 "대신 나중에 관보에 모두 게재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윤창중 대변인조차 언론에 보도된 인선 내용도 확인해주지 않은 채 "기다려 달라"고만 되풀이할 뿐이다. 청와대 비서관은 행정부 내 직급으로 1~2급에 해당하지만 각 부처와 주요 정책 진행 상황을 조율ㆍ기획하는 등 총괄적으로 점검해 대통령 판단을 돕는 일을 한다. 부처마다 실력 있고 경험 많은 에이스들을 파견하는 것은 이런 중요성 때문이다. 공식적으로 대통령을 보좌하는 비서실에서 일할 공직이니 국민에게 인선 내용과 배경을 상세하게 설명해야 하는 건 당연하다. 역대 정부는 이런 중요성과 안팎의 관심을 고려해 비서관급 인선 내용을 일괄적으로 공식 발표해왔다. 그런데 유독 박근혜 정부만 인선 내용을 제대로 공개하지 않은 채 비공개ㆍ비공식 방식을 고수하고 있으니 답답한 일이다. 만일 특정 인사를 비서관에 앉힌 데 대해 여러 가지 지적이나 여론 검증을 의식해 그런 것이라면 곤란하다. 박 대통령을 오래 곁에서 보좌해 온 인물들을 부속실에 기용하는 데 대해서도 명확히 설명할 필요가 있다. 윤창중 대변인을 발령할 때도 슬쩍 넘어가듯 했는데 설혹 이들 인선이 논란을 빚는다 해도 발표하지 않는다고 덮어지지는 않는다. 문제의 본질은 따로 있다. 총리와 17부 장관, 청와대 수석 인선에서 보여준 박 대통령 인사스타일은 독특하며 효율적이라 보기 어렵다. 이젠 청와대와 정부에 있는 공식 인사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하고, 인재풀을 크게 넓혀 인재를 찾아야 한다. 앞으로 각 부처 차관 등 고위직 공무원과 산하기관장 등 이어져야 할 인사가 더 많으니 이런 지적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역대 정권마다 '인사가 만사'라는 불변의 진리를 알고서도 번번이 실수를 반복했다. 박 대통령은 더 이상 '나 홀로 인사'나 '불통 인사'라는 지적을 받아서는 안 된다. |
'사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정규직 불법파견 안된다는 GM대우 판결(2013.3.4.) (0) | 2015.08.17 |
---|---|
朴대통령 增稅부터 할 생각 말라고 했지만(2013.3.1.) (0) | 2015.08.17 |
日은행에 역할 뺏긴 부끄러운 국내 은행들(2013.2.26.) (0) | 2015.08.17 |
김종훈 일단 시켜본 뒤 성과로 평가하자(2013.2.22.) (0) | 2015.08.17 |
후보 검증 전관예우ㆍ탈세가 投機보다 더 중요(2013.2.21.) (0) | 2015.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