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경제:서브프라임과 리먼 사태

GMㆍ크라이슬러 216억弗 추가 요청(2009.2.19)

joon mania 2015. 8. 4. 18:31
GMㆍ크라이슬러 216억弗 추가 요청(2009.2.19)
자구안 내랬더니 또 손벌려

파산이냐, 회생을 위한 정부 지원이냐의 기로에 있는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크라이슬러 등 2개 자동차 업체가 216억달러(약 30조원)를 더 지원해 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이들은 자금을 지원해주면 대규모 감원과 공장 폐쇄 및 기존 브랜드 정리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실시하겠다는 자구안을 제시했다. 나아가 2012년부터 정부가 지원한 돈을 갚기 시작해 2017년까지 상환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GM과 크라이슬러는 17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회생 계획안을 정부에 제출했다. 

양사가 자구책 제출 시한인 이날 구조조정 계획서를 제출함에 따라 이들의 운명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손으로 넘어갔다. 미국 정부는 3월 31일까지 업체의 자구계획을 검토해 지원 여부를 결정한다. 

하지만 전반적인 경기 침체가 가속되고 있는 데다 자동차 업체 경쟁력 약화의 핵심인 노조의 파격적인 양보가 나오지 않는 한 생존을 위한 탈출구 마련이 힘들다는 지적이다. 

장기적인 성공을 명분으로 양사에 대한 파산 후 새로운 법인을 통한 자동차 산업 재건이라는 충격적인 조치도 배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미자동차노조(UAW)는 이날 두 업체의 자구계획 제출에 맞춰 성명을 내고 `빅3` 사측과 경영 회생을 위한 잠정 합의에 도달했다고 입장을 밝혔다. UAW는 "2007년 3개 업체 노사 간에 합의한 내용을 손질하기로 해 업계가 처한 심각한 존폐 위기를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백악관은 업체의 자구안에 대해 `더 많은 것이 필요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로버트 기브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채권단이나 부품공급업체, 판매상, 노동자, 경영진 등 모든 이해당사자들로부터 더 많은 보완책이 나오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오바마 행정부는 당초 설치키로 했던 자동차 차르 대신 티머시 가이트너 재무장관과 로런스 서머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을 공동 의장으로 하는 대통령 산하 자동차업계 태스크포스(PTFA)를 설치해 여기서 업체 지원 여부 등을 결정토록 할 계획이다. 

[워싱턴 = 윤경호 특파원]


GMㆍ크라이슬러 회생할 수 있을까?
백악관 "파산통한 구조조정도 고려"
복지축소등 노조 양보가 최대관건

미국 자동차 업체 GM과 크라이슬러가 17일 제출한 자구안은 정부에 추가 자금지원 요청과 함께 감원, 공장 폐쇄 등 대대적인 구조조정 방안을 담고 있다. 

GM은 166억달러를 추가로 지원해 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GM에 이미 건네진 자금은 134억달러다. 합하면 자금 300억달러를 지원해 달라는 것이다. 

GM은 올해 전 세계 사업장에서 직원 4만7000명을 줄이겠다고 밝혔다. 보유 브랜드 중 새턴은 2011년 말까지 없애고 올해 1분기 내에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브랜드인 허머를 매각 또는 폐기할지 결정하기로 했다. 사브와 폰티악은 처리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렇게 되면 GM 브랜드는 현재 8개에서 시보레, 뷰익, 캐딜락, GMC 등 4개만 남는다. 

GM은 이를 통해 앞으로 2년 내에 수익성을 회복할 수 있다며 2017년까지는 정부 지원금 상환을 완료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크라이슬러도 이날 제출한 회생계획안에서 50억달러 추가 자금지원을 요청했다. 기존 지원자금 40억달러를 합치면 90억달러를 달라는 것이다. 

구조조정 차원에서 3000명을 추가 감원하고 3개 모델 생산을 중단하기로 했다. 

GM과 크라이슬러는 지난해 12월 19일 정부에서 긴급 대출을 받는 조건으로 노조가 운영하는 은퇴자 건강보험 기금에 지출하는 비용 중 절반을 내년에 현금 대신 주식으로 지급하고 추가적인 실업급여 지급을 없애기로 한 바 있다. 

GM은 노조에 현금으로 지출하는 은퇴자 건강보험 기금을 204억달러에서 102억달러로 줄여야 한다. 

전미자동차노조(UAW)가 이번 GM 크라이슬러 자구책 제출 과정에서 포드를 포함한 3사 경영진과 협상을 통해 양보 자세를 일부 보였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그러나 감원과 근로자 복지 혜택 축소 등을 놓고 향후 노조 측에서 추가로 양보하지 않는다면 험한 길로 접어든다. 

채권단과 채무 재조정 문제도 남아 있다. GM은 275억달러에 달하는 무보증 채권을 3분의 1로 줄일 것도 정부에서 요구받고 있어 이에 관해 채권단과 협의를 벌였다. 

미국 정부는 GM과 크라이슬러 자구책을 3월 31일까지 판단해 운명을 결정해야 한다. 판정은 대통령 직속으로 자동차업계 태스크포스(PTFA)를 구성해 맡기기로 했다. 태스크포스는 티머시 가이트너 재무장관과 로런스 서머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이 함께 이끈다. 

양사는 정부에서 자구책을 승인받지 못하면 기존에 지원한 174억달러를 회수당하며 아울러 파산으로 갈 수도 있다. 

백악관은 이번 자구책 제출을 앞두고 파산 가능성도 얼마든지 열어놓고 있다고 양사를 압박했다. 제출한 자구책에 대해 `더 필요하다`고 못마땅하다는 뜻을 공식으로 밝혔다. 

GM과 크라이슬러를 파산시킨다면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가고 소용돌이도 피하기 어렵다. GM은 파산시 최대 1000억달러 비용이 들어갈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그렇다고 정부가 추가 지원을 통한 회생을 결정하더라도 앞날은 순탄치 않다는 지적이다. 정부 자금지원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될 수도 있다는 염려다. 

무디스이코노미닷컴 이코노미스트는 자동차 빅3를 구제하는 데 750억달러에서 최대 1250억달러까지 필요하다는 분석치를 제시하기도 했다. 

[워싱턴 = 윤경호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