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외 도피한 최 위원장 전 보좌역 왜 소환 않나(2012.1.9.)
joon mania
2015. 8. 8. 23:53
국외 도피한 최 위원장 전 보좌역 왜 소환 않나(2012.1.9.)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정책보좌역을 지내다 돌연 사직한 뒤 국외로 달아난 정용욱 씨를 둘러싼 소문과 의혹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공금 횡령과 정ㆍ관계 로비 혐의로 구속된 김학인 한국방송예술교육진흥원(한예진) 이사장을 비롯해 다른 방송통신 관련 업체들에서도 정씨가 수억 원대 금품을 받았다는 소문이 무성한 상황이다. 무엇보다 최 위원장 양아들로 불리며 지근 거리에서 보좌하던 정씨가 지난해 10월 사표를 낸 뒤 12월 초 태국으로 도피하는 과정에서 청와대나 방통위의 비호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주승용 민주통합당 의원은 5일 "청와대 민정수석실은 2010년 정씨 부친상 때 업체에서 받은 부의금이 억대를 넘은 것으로 파악하고 뇌물성 여부를 조사했고, 정씨가 재혼을 앞두고 사전에 축의금을 걷는다는 첩보를 입수해 탐문조사도 진행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무슨 이유에서인지 민정수석실 조사가 중단됐고 정씨가 출국할 때까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민정수석실은 조사를 중간에 덮었다는 건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지만 의혹을 해소하기에는 미진하다. 주 의원은 이동통신용 황금주파수 낙찰과 관련해 정씨에게 금품을 제공한 최 모씨 집을 검찰이 압수수색한 날 정씨가 태국으로 도피했다며 검찰의 비호 의혹까지 제기했다. 일련의 정황을 볼 때 정씨의 국외 도피는 주 의원 주장처럼 청와대나 검찰에서 눈을 감아주지 않고는 불가능했을 것으로 보는 이들이 많다. 검찰은 김 전 이사장 수사 관련 브리핑에서 "언론이 김씨가 정용욱 씨에게 금품을 제공했다는 의혹 등을 제기하고 있지만 아직 연관성이 나온 게 없고 자료도 없어서 정씨에 대한 수사 착수는 이르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정씨 관련 소문이 눈덩이처럼 늘고 있는 상황에서 검찰의 이런 소극적인 태도는 의혹만 더 키울 뿐이다. 검찰은 정씨에 대한 직접적인 수사에 즉각 나서고, 국외 소재를 파악한 뒤 소환장을 보내야 한다고 본다. 최시중 위원장은 지난 5일 국회에서 "정책보좌역의 금품수수 의혹에 대해 사실 여부를 떠나 유감 말씀을 드린다"고 언급했다. 신건 민주통합당 의원이 "정씨 비리를 최 위원장이 모를 리 없고 관련이 없을 수 없다"고 주장할 정도니 이런 비판을 듣지 않으려면 보다 적극적으로 정씨에 대한 수사에 협조하고 응당한 조치를 먼저 취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