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학정원 못 줄이면 고졸채용 확대 빛바랜다(2012.2.24.)

joon mania 2015. 8. 9. 01:33
대학정원 못 줄이면 고졸채용 확대 빛바랜다(2012.2.24.)
 
국내 최대 통신서비스 회사인 KT그룹이 올해 채용 예정 4000명 가운데 35%인 1400명을 고졸 출신으로 뽑겠다고 밝혔다. 한때 중단했다가 2010년부터 부활한 KT의 고졸 공채는 열린 채용 정책으로 칭찬받을 만하다. 동종 업체인 SK텔레콤이나 LG유플러스에는 고졸 출신 임원이 드문 반면 KT에는 114명의 임원 중 10명이나 되는 것만 봐도 그렇다. 
그렇지만 고졸 채용을 늘리면 대졸자 채용은 줄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대학 진학률은 80%에 달하면서도 졸업 후 직장을 갖지 못하는 고학력 젊은이들이 넘쳐나는 게 요즘 우리 사회 모습이다. 더욱이 대학 입학 학령인구는 2012년 67만여 명으로 정점에 이른 후 2018년부터는 대학교 입학정원이 고교 졸업자 총원을 초과하는 시점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의 경우 학령인구가 이미 20년째 줄고 있다. 그 결과 2006년에는 사립대학의 40%인 222개 학교가 입학생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일본의 이런 사례는 한국의 일부 지방대학에 벌써 현실화되고 있다. 
이에 미리 대비하기 위해서는 고졸자 취업을 촉진하는 정책과 함께 대학 정원을 학령인구 감소에 맞게 감축하는 작업을 병행해야 한다. 교육부가 지방 국립대를 중심으로 통폐합을 유도하고 자발적인 합병의 경우 여러 인센티브를 주고 있으니 대학들은 적극적인 실행에 나서야 할 것이다. 
정부와 정치권은 기회만 되면 일자리 늘리기를 공언하지만 쉽게 늘지 않는 게 현실이다. 
매일경제가 올해 벌이고 있는 일자리 1% 늘리기 캠페인은 고졸이든 대졸이든 가리지 말고 기업들에 채용 예정 인원보다 1%만 더 늘려 뽑아 청년 실업률을 낮춰 보자는 제안이다. 그저께 열린 '대한민국 100대 프랜차이즈 CEO 포럼'에서 업체들은 동참을 선언했다. 124만여 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는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1% 채용을 늘리면 1만2400명이 추가로 일자리를 얻게 된다. 
1992년 대선에서 '문제는 경제야, 바보야'라는 구호를 내세워 승리한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도 최근 펴낸 '다시 일터로(Back to Work)'라는 책을 통해 경제 정책의 핵심은 일자리 창출이라고 강조했다. 클린턴은 직원 50명 이상의 100만개 기업이 한 명씩만 더 뽑아도 100만명이 일자리를 갖는다고 주장했다. 일자리 창출은 그 자체가 최고의 복지 정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