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이야기

재미있는 통계이야기/로봇이 증권투자를 자문한다?

joon mania 2015. 8. 11. 11:19
재미있는 통계이야기/로봇이 증권투자를 자문한다?


2014년 개봉된 스파이크 존스 감독의 미국 영화 '그녀(her)'는 영화속 로봇에 대한 그동안의 시각을 확 바꾸게 만들었다. 


로보캅, 터미네이터 같은 초능력자만 보다가 인간처럼 감정을 가진 로봇도 가능한 시절이 올수 있겠구나 싶게 만들었기 때문이다.주인공 테오도르(호아킨 피닉스 배역)는 다른 사람들의 편지를 대신 써주는 대필 작가다. 타인의 마음을 전해주는 일을 하지만 아내와 별거 중이어서 정작 자신은 외롭고 공허한 삶을 산다. 그러던 어느 날 스스로 생각하고 느끼는 인공지능운영체제인 사만다(스칼렛 요한슨 배역)를 만난다. 자신의 말을 들어주고 이해해주는 사만다로 인해 행복을 되찾기 시작한 테오도르는 점점 로봇인 그녀에게 사랑을 느끼게 된다.


로봇은 인간을 대체하는 인공기계로 산업현장에서의 반복된 일이나 심해나 혹한지에서 힘든 작업을 맡고 있다. 가정에서는 로봇이라는 이름을 붙인 청소기가 익숙해져 있다. 그런데 요즘 로봇의 역할은 상상을 뛰어넘어 다양해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로봇이 금융투자를 자문하는 어드바이저 역할까지 발전했다. 육체와 물리력을 대신 행사하는 단계를 넘어 인간의 판단능력까지 대체하는 것이다.로보-어드바이저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짜주는 투자자문서비스 제공업자를 말한다. 여러 정형화된 온라인 서베이를 토대로 로봇(사실은 컴퓨터)이 개인의 특성에 맞는 투자를 권유하는 형식이다. 사전에 정교하게 다듬어져 있는 알고리즘과 고도화된 컴퓨터의 계산능력 덕분에 가능하다.


 로보-어드바이징을 업무로 내건 회사가 속속 등장해 자리를 잡고 있다. 베터먼트(Betterment), 퓨처어드바이저(Future Advisor), 웰스프런트(WealthFront) 등이 대표적이다.경제통계회사인 코퍼릿 인사이트(corporate insight)의 집계로는 2014년말 로보-어드바이징 산업 규모가 벌써 190억달러 수준이다. 미국 내 금융투자자문업 운용액 5조달러의 0.4% 정도를 차지한다. 


로보-어드바이징 산업의 성장 속도는 눈부실 정도여서 2019년에는 2500억 달러 수준으로 급증할 것이라는 추산도 있다.2014년 8월 미국 언론에는 미식축구구단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가 선수와 직원의 투자자금을 로보-어드바이저에게 맡겼다는 기사가 보도됐다.그해 10월에는 유명 펀드 피델리티가 로보-어드바이징 회사인 베터먼트와 정보제공 계약을 체결했다는 기사가 이어졌다. 베터먼트에서 보유한 투자 관련 정보와 자료를 피델리티의 3000여 금융상담사들에게 제공해 이들이 고객과 상담할 때 활용토록 한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투자자문업체들과 로보-어드바이징업체간에 협력과 제휴 관계가 구축된 듯 보이지만 실은 치열한 경쟁이 진행되고 있다. 수수료에서 로보-어드바이징이 고객들에게 훨씬 매력적이다. 웰스프런트는 최소 투자금액 5000달러 이상만 되면 투자상담을 받을수 있으며 수수료는 운용액의 0.25%다. 베터먼트는 아예 최소 투자금액 기준이 없으며, 수수료는 투자 규모에 따라 0.15~0.35% 선에서 책정된다. 이에 반해 전통적인 투자자문업체의 수수료는 운용액 대비 평균 1.3%에 달하니 비교하기 힘들다.


문제는 로보-어드바이징 업체가 얼마나 신뢰를 얻느냐다. 투자자와 접촉해 정보를 얻고 그의 선호를 반영해 전략을 짜주는 전통적인 투자자문업체에 비해 정량화된 정보에만 의존하는 로보-어드바이징업체는 한계를 노출할수 있다. 아직 투자 성과에서도 별다른 실적을 내지 못하고 있다. 리스크를 최소화 하다 보니 수익률도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다.로보-어드바이징은 아직 저비용으로 포트폴리오를 짜주는 투자자문업 단계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로봇기술 진보에 맞춰 인지컴퓨팅이 발전되면 얼마든지 자문기술과 영역을 넓혀나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윤경호 논설위원


표/로봇산업의 세계 시장 전망<단위:억달러> 

                     2005 2010 2015 2020 

제조업용           53    74    102   133 

전문서비스용     42     93    190  303

개인서비스용     25     79    198   281 


자료:산업연구원(KIET),로봇산업의 2020 비전과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