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새정부 출범전 6조 예산증액 나쁜 선례다(2012.12.24.)
joon mania
2015. 8. 13. 10:01
새정부 출범전 6조 예산증액 나쁜 선례다(2012.12.24.)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 이행을 위해 새해 예산안에서 6조원을 증액하겠다는 새누리당의 방침에 논란이 뜨겁다. 이한구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국채 발행을 통한 적자 예산안도 편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6조원의 용도는 저소득층 복지 사각지대 축소(1조1758억원), 일자리 창출 및 나누기(1조2279억원), 0~5세 무상보육(6779억원), 하우스ㆍ렌트 푸어 대책을 포함한 부동산시장 정상화(5000억원), 대학생 반값등록금(1831억원) 등이다.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예산안은 342조5000억원으로 4조8000억원의 적자 편성이다. 여야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원안 대비 1조4000억원가량의 감액에 의견 접근을 본 상태였는데 다시 협의를 해야 할 판이다. 과거 대선을 치렀을 때 예산안은 선거일 이전에 처리했다. 다만 2007년 말 17대 때만 당시 한나라당에서 당선인의 의중을 반영하자고 주장해 선거 후 처리하면서 사회간접자본 3666억원, 신재생에너지 1000억원을 늘렸다. 이번 새누리당처럼 예산안 통과 전에 6조원을 증액한 것과 같은 사례는 없고 만약 강행 시 좋지 않은 선례를 남기게 된다. 노무현ㆍ이명박 대통령 때는 새 정부 출범 후 공약을 총점검해 취임 1차 연도에 추경을 편성해 새 사업 재원을 마련했다. 노무현 대통령 때 2003년 6월과 10월, 이명박 대통령 때는 2008년 6월 각각 추경을 편성한 바 있다. 이번에 박 당선인의 공약 이행을 내세워 6조원을 졸속 증액시키려는 것은 나무만 보고 숲은 못 보는 격이다. 선거를 끝냈으니 이제 총체적으로 상황을 재점검하고 재정건전성 같은 것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박근혜 정부 출범 후 내년 2분기쯤에나 추경을 편성하는 방안이 더 합리적일 것이다. 더욱이 국채를 발행해서라도 증액해 적자 예산을 감수하겠다는 것은 박 당선인이 여러 차례 정부 씀씀이를 줄이고 세수 확충으로 재원을 마련하겠다고 국민에게 했던 약속과도 위배되는 것이지 않은가. 박 당선인이 평소 강조하는 '원칙과 신뢰를 지켜야 한다'는 점도 중요하다. 하지만 국가경영에서는 필요하다면 융통성을 갖는 것이 더 중요한 가치다. 박 당선인에게 유권자 과반수가 표를 몰아준 것은 신뢰도 중요하지만 국정운영의 안정성에도 큰 비중을 둔 것으로 봐야 한다. 공약 이행 못지않게 정부 부채를 늘리지 않는 것이 안정성의 주요 지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