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창의인재 現정권 넘어 10~20년 보고 추진하라 (2013.8.7.)

joon mania 2015. 8. 19. 17:59
창의인재 現정권 넘어 10~20년 보고 추진하라 (2013.8.7.)



박근혜정부 핵심 기조인 창조경제를 실현할 인재 육성 방안이 어제 발표됐다.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고용노동부가 함께 마련했는데 지난 2일 국무총리 주재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이미 내용을 확정했다고 한다. 정부는 창의적 인재의 역량을 키우고 창의성을 장려하는 문화 조성을 위한 11개 세부 추진 과제를 제시했다. 예를 들어 이공계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 인식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과학기술 인재 진로지원센터'를 설치하고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와 연계된 진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겠다는 것 등이다. 현대사회에서 전문지식의 융합 필요성에다 글로벌 감각도 가지면서 평생학습으로 이를 유지해야 한다는 걸 모르는 이는 없다. 문제는 이를 함양할 사회적 여건을 얼마나 마련해 주느냐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과학고나 영재학교 중심으로 추진되던 융합형 프로젝트 학습을 일반고로 확대하겠다거나, 대학에서 과학기술 전공자가 인문학 과목을 수강할 수 있도록 융합강좌 개설을 유도하겠다는 것은 바람직하다. 오히려 이런 기본적인 조치를 왜 진작 시행하지 않았는지 먼저 반성해야 한다. 이번에 발표된 상당수 정책들은 각 부처에서 이미 발표했던 세부안을 백화점식으로 나열하는 데 그쳤다는 지적도 많다. 학교마다 설치하겠다는 무한상상실이나, 신설하겠다는 산업기술명장대학원 등이 전시효과를 위해 밀물처럼 생겨났다가 슬그머니 사라질까도 걱정된다. 과거 정권 때 '신지식인'이나 '녹색성장' 등을 슬로건으로 내세웠다가 정권과 함께 사라졌는데 이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 창의 인재 육성을 이번 정부에서 결실을 맺겠다는 게 아니라 씨를 뿌린다는 자세로 시작하라. 꿈과 끼 그리고 도전정신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는 갑자기 시작되는 정책 몇 개로 금세 키워지지 않을 것이다. 입시 지상주의에 사로잡힌 사회 전반적인 교육 풍토가 바뀌어야 한다. 대학에서도 안정적인 직장만을 목표로 하는 이른바 '스펙 쌓기' 경쟁에서 벗어나야 한다. 창조경제는 여러 부문에서 구현되겠지만 우선 벤처와 중기 생태계 활성화를 통해 체감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들에게 기업가 정신을 함양하는 교육을 강화해 창업에 나서도록 하고, 산ㆍ학 연계를 통한 다양한 창업 지원 프로그램부터 확대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