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동정담
[필동정담] 광명동굴의 기적(2017.4.18.)
joon mania
2017. 4. 18. 07:48
[필동정담] 광명동굴의 기적(2017.4.18.)

2015년 4월 유료 개장 후 234만명이 찾아왔고 125억원의 세외수입을 올렸다. 동굴 운영에 관련된 630개의 일자리가 새로 생겼다. 광명시가 경제성 분석기관에 의뢰해보니 30년간 6000만명의 관광객이 찾고 5400억원의 수입이 생길 수 있다는 계산이다. 수입에서 운영비 등 지출을 뺀 수익을 볼 때 광명동굴의 현재 경제적 가치가 1530억원 정도로 나왔다. 2011년 사들일 때 쓴 43억원에다 진입로 확충과 주차장 조성 등에 국비와 도비, 시비 등 6년간 573억원을 들였다니 어느 민간투자와 견줘도 뒤지지 않는 성공적인 투자와 개발 사업이다.
동굴 안 350석의 객석 앞 무대에서 오케스트라와 국악 공연이 펼쳐지고, 동굴 벽에 쏘는 판타지 동영상과 그림은 보는 이를 상상의 세계로 이끈다. 동굴 내 와인 창고와 와인 레스토랑 덕분에 전국의 토종 와인을 끌어모아 와인 한 방울 나지 않은 곳을 대한민국 와인의 메카로 만든 것엔 찬사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
광명동굴은 폐광이었다. 일제강점기 한창 땐 금, 구리, 아연 등 다양한 광물을 캐던 시흥의 가학광산으로 1960년 말 초등학교 사회과 지도에 실릴 정도로 유명했다. 그러나 소유주가 바뀐 후 40여 년간 사실상 방치해 새우젓 저장고로 빌려주고 있었다.
2010년부터 시정을 맡은 양기대 광명시장은 `폐광과의 운명적인 만남`이라고 술회한다. 버려진 곳을 과감하게 사들이고 확실하지도 않은 미래의 가치를 위한 개발 비용을 쏟아부을 때 주변의 적지 않은 우려와 반대에 봉착했지만 헤쳐나가 결실을 이뤄냈다. 그래도 그는 중심성성(衆心成城) 덕분이라고 자신을 낮춘다.
최초 검토부터 현재까지 2300여 일간의 동굴 개발 스토리를 담아 양 시장이 지난달 말 펴낸 `폐광에서 기적을 캐다`라는 책을 읽으면서 대한민국 지방자치의 희망을 봤다. 공공이든 민간이든 우리 사회에 꼭 필요한 혁신의 실마리도 함께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