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동정담
[필동정담] 호모 오노마스티쿠스(2018.10.17)
joon mania
2018. 10. 17. 08:48
[필동정담] 호모 오노마스티쿠스(2018.10.17)

오노마스틱스는 사람이나 장소 이름뿐만 아니라 동물이나 건물, 천체 이름 등 존재하는 모든 고유명사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성경을 보면 최초의 인간 아담에게 이름 짓는 일은 중요한 임무였다. 창세기 2장에 있는 "아담이 각 생물을 부르는 것이 곧 그 이름이 되었더라. 아담이 모든 가축과 공중의 새와 들의 짐승에게 이름을 주니라"라는 대목이다. 아담의 후손이 정착한 곳에는 예외 없이 특별한 의미를 가진 이름이 붙여졌다.
장소 이름은 우연히 또는 아무 연유 없이 정해진 건 없다는 게 지명 연구의 철칙이다. 해당 장소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맞물려 있다. 특정 지역에 살면서 혹은 공부나 일, 여행 때문에 이동하면서 그 장소의 이치를 알아가는 것은 지리학자를 넘어 누구에게나 공통이다. 주 교수는 이런 이유 때문에 인간을 지리적 존재 즉 호모 게오그라피쿠스(homo geographicus)라고 규정한 지리학자 R D 색 박사의 주장에 공감을 표했다.
우리 주변을 돌아보면 쉽게 이해된다. 남쪽에 있는 산은 남산, 북쪽에 있는 마을은 북촌 이런 식이다. 주 교수가 펴낸 `인간 장소 지명`이라는 책을 보면 어려운 지리학이 이렇게 쉽고 재미있는 학문인지 무릎을 치게 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이름을 붙이는 일을 영어 표현으로 네이밍이라고 개념화해 이제 일상적인 용어로 자리 잡았다. 사람이든 장소든 뜻있고 부르기 쉽게 이름을 잘 짓는 게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