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3년내 경제 대위기 올 수 있다는 경고 귀담아야(2015.11.10.)
joon mania
2018. 12. 5. 17:09
[사설] 3년내 경제 대위기 올 수 있다는 경고 귀담아야(2015.11.10.) |
기업구조조정 머뭇거리는 새 좀비기업이 전체 무너뜨릴판 |
지체하면 효과 적고 비용만 커 |
기업 구조조정을 더 늦추면 향후 3년 내에 한국 경제에 큰 위기가 닥칠 수 있다는 경영학자들의 경고는 당면한 현안 중 어떤 것이 가장 시급한지 읽게 한다. 매일경제와 한국경영학회가 경영학자 50명에게 물었더니 응답자들은 한계기업의 부실이 당사자를 넘어 다른 대그룹과 금융권까지 전이돼 고용과 투자, 소비 등 경제 전반에 타격을 줄 지경에까지 도달했다고 이구동성으로 지적했다. 당장 부실을 도려내지 않으면 박근혜정부 임기 내에 1997년 외환위기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같은 충격이 올 수 있다는 것이다. 기업 구조조정 필요성에 대해서는 안팎의 공감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이를 떠맡아 해야 할 주체인 정부와 채권단에 대한 신뢰는 바닥에 떨어져 있으니 문제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응답한 경영학자의 90%는 정부와 채권단이 말로만 기업 구조조정을 외칠 뿐 실제로는 확고한 의지가 없다고 질타했다. 정부와 채권단이 미적거리는 사이 기업의 신용등급은 갈수록 떨어지면서 좀비기업 양산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올해 10월까지 신용등급이 강등된 기업은 45개로 1998년 외환위기 때의 61개 이후 가장 많았다. 2008년 금융위기 때엔 33개였으니 이때보다 많다. 실제로 매일경제 조사 결과 증시에 상장된 1684개 기업 중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인 기업이 234개에 달했다. 상장사 7개 중 1개가 기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이는 돈으로 부채 이자도 감당하지 못하는 상태라는 얘기다. 비상장사로 더 넓히면 이자도 못 갚는 좀비기업이 3000개를 웃도는 것으로 추산된다. 그동안 한국 경제를 지탱해온 철강 화학 조선 해운 등 주요 제조업마다 시급한 구조조정을 통한 산업구조 재편이 발등에 불로 떨어져 있다. 고부가가치 기술력을 바탕으로 하는 산업구조 변화도 요구받고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 예고, 중국의 성장 둔화, 엔화 약세 가속화, 원자재 가격 하락 등 대외 환경은 그렇지 않아도 악화되고 있는 기업의 경쟁력을 더 위협하고 있다. 저금리에 젖어 마냥 늘려온 2350조원의 기업부채에다 1300조원에 이른 가계부채를 감안하면 한국 경제가 안고 있는 폭탄 뇌관은 도처에 깔려 있는 형국이다. 지체하면 대위기가 올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 마당에 기업 구조조정을 늦출 하등의 이유가 없다. 빠른 속도로 과감한 결행을 해야 한다. 시간을 끌면 효과는 떨어지고, 비용은 더 커진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