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칭기즈칸 속도전 운운하며 사회적 총파업 돌입하는 민노총(2017.6.22.)
joon mania
2018. 12. 17. 15:01
[사설] 칭기즈칸 속도전 운운하며 사회적 총파업 돌입하는 민노총(2017.6.22.)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이 잇단 집회와 총파업을 벌이겠다는데 일상적인 요구를 넘어 정치 투쟁에 나서는 모양새여서 걱정스럽다. 민노총 건설노조 조합원 7000여 명은 지난 20일 서울 덕수궁 부근에서 집회를 가졌다. 24일에는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반도 배치 반대 집회에 참석한다. 28일부터 7월 8일까지는 사회적 총파업 주간을 내걸고 오는 30일 수만 명 규모의 집회를 갖는 등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예고했다. 자신들과 통하는 진보정부 출범에도 불구하고 적폐 청산이나 사회 대개혁을 내걸며 실력 행사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2015년 폭력시위 주도로 실형을 받아 감옥에 있는 한상균 위원장은 조합원에 보낸 서신에서 물러설 수 없는 전쟁이 시작됐다며 칭기즈칸의 속도전으로 개혁을 밀어붙여야 한다고 총파업을 독려했다. 그는 재벌을 정경유착의 공범이라고 공격하면서 권력기관과 기득권 집단을 개혁 대상이라고 몰아붙여 앞으로 벌어질 노사 간 줄다리기나 노동 현안 협상에서 주도권을 쥐겠다는 태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민노총은 과거에는 정부 주도의 대화 테이블에 아예 참여를 거부했지만 문재인정부 들어서는 일자리위원회에 합류 의사를 밝힌 데 이어 노사정위원회나 최저임금위원회에도 복귀하겠다고 결정했다. 대통령 공약인 한국형 사회적 대화기구에도 참여를 검토하겠다고 했으니 노동계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제 역할에 충실하려는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갑자기 사회적 총파업 운운하며 돌변한 걸 보면 최저임금 인상이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 노동 현안을 넘어 정치 이슈에 직접 관여하겠다는 것이니 걱정스럽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과 문재인 대통령 선출은 공사를 구분 못한 국정농단 세력을 정리하고 민주적 헌법질서와 국정운영 시스템을 바로잡는 과정이었다. 그 속에서 촛불집회에 여러 단체와 시민의 목소리가 모아졌지만 이를 빌미로 제각각의 이익을 쟁취하기 위한 청구서를 들이민다면 자기 몫 챙기려고 나선 것이었냐고 묻지 않을 수 없다. 민노총 등 노동단체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사회단체 그리고 다른 시민단체 모두 제 밥그릇 키우려는 소아병적 자세를 벗어 던지고 국가와 공동체의 미래를 먼저 생각하는 대승적 모습을 보여주기를 주문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