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드루킹의 댓글조작 방치한 네이버,아웃링크가 해법이다(2018.4.20)

joon mania 2018. 12. 24. 15:40

[사설] 드루킹의 댓글조작 방치한 네이버,아웃링크가 해법이다(2018.4.20)


      

필명 드루킹인 민주당원 김 모씨의 댓글 조작 무대였던 네이버 등 포털의 책임을 지적하며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현재의 포털 운영 구조와 온라인 문화에서는 댓글을 통한 여론 조작이 얼마든지 더 불거질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과 공감 수를 조작해 해당 댓글이 지배적 여론인 듯 꾸민 행태는 2012년 대통령선거부터 노골적으로 고개를 들었다. 이후 첨단 프로그램과 운영기법 진화로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으니 포털을 포함한 인터넷 플랫폼이 이에 맞설 진전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네이버 등 포털은 댓글이나 추천을 반복하는 매크로 프로그램을 막기 위한 장치를 실행하고 있지만 드루킹 사건에서 보듯 무용지물이었다. 하루에 쓸 수 있는 아이디당 댓글 수를 제한하거나 댓글을 연속 작성하지 못하도록 등록 시간도 제한했다. 동일한 인터넷 주소 대역에서 일정 횟수 이상 로그인하거나 동일 댓글을 반복적으로 올리면 사람과 컴퓨터를 구별하는 자동 계정생성 방지 기술인 캡차를 노출시켜 매크로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작업을 못 하도록 하는 방법도 썼다. 하지만 전문꾼들은 이런 방패를 뚫는 기법을 진작 개발했고 포털 측은 이를 뻔히 알면서도 상업 목적으로 적극적인 대응을 하지 않았던 징후가 농후하다. 기사의 댓글을 유도하고 댓글 수와 공감 수를 노출시켜 유입자를 끌어모으는 일종의 기사 장사를 위해 포털 측이 댓글 조작을 방치한 측면도 있다는 것이다.
포털은 댓글이나 조회 수 조작에 대처할 근본적인 방안과 함께 언론 기사에 대한 댓글 조작을 막기 위해 당장 취할 수 있는 조치는 속히 도입해야 한다. 언론사의 기사를 포털 사이트에서 보여주는 인링크 대신 뉴스를 클릭하면 해당 언론사로 옮겨가는 아웃링크를 시행해야 한다. 포털에서는 한 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기사에 댓글을 달 수 있지만 아웃링크 방식을 의무화하면 언론사 사이트에 개별적으로 로그인해야 댓글 작업을 할 수 있다. 광범위한 댓글 조작을 줄일 수 있고 각 언론사가 댓글 관리 책임을 지면 된다. 개별 언론사 사이트에 접속해 뉴스를 보는 이용자보다 포털에서 언론 기사를 접하는 이들이 압도적으로 많은 현실에서 포털의 아웃링크 시행은 시급하다. 댓글 조작 같은 오명을 빨리 씻어내지 않으면 인터넷 여론의 신뢰는 갈수록 떨어질 것임을 직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