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超연결사회의 취약성 드러낸 KT 화재사고(2018.11.26.)

joon mania 2018. 12. 26. 16:40

[사설] 超연결사회의 취약성 드러낸 KT 화재사고(2018.11.26.)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에 있는 KT 아현지사 건물에서의 화재로 빚어진 메가톤급 후폭풍은 온라인과 모바일 기기로 짜인 초(超)연결사회의 취약성을 여지없이 보여줘 여러 측면에서 경종을 울린다. 화재는 지난 24일 오전 11시께 전화선과 광케이블이 설치된 통신구에서 발생했다. 통신장비 설치 건물에 스프링클러도 안 둔 원천적인 관리 부실을 탓해야 하지만 이로 인해 빚어진 관할 지역에서의 통신 장애 여파로 관심은 다른 곳에 쏠렸다. 사고 여파로 서울 중구·용산구·서대문구·마포구 일대와 은평구·경기도 고양시 일부 지역에 KT를 통한 휴대전화, 유선전화, 초고속인터넷, IPTV 서비스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KT 통신망을 사용하는 카드 결제 단말기와 포스(판매 시점 정보관리시스템) 먹통으로 편의점과 식당 등이 영업에 차질을 빚었고 카드 결제를 해야만 차단기를 여는 무인 관리 주차장에 갇혀 못 나온 경우도 있었다. KT가 주요 주주인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에서는 네트워크 접속 장애까지 발생해 뱅킹 서비스에도 차질을 빚었다. 더 심각한 건 KT 망을 쓰는 일선 경찰 통신망까지 일부 장애를 입어 일시적이나마 치안망까지 흔들었다는 점이다. 외부 신고를 받는 일반 전화가 불통이 된 파출소나 경찰서가 있었고 서울지방경찰청 상황실과 연결되는 112 통신시스템도 일부 지장을 받았다.
유무선 전화와 초고속인터넷, IPTV 서비스는 물론 휴대폰이나 인터넷을 활용한 카드 결제, GPS 등을 온통 먹통으로 만들어버린 이번 사고 여파는 단순한 통신 대란쯤으로 정리할 간단한 수준이 아니다. KT가 복구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그와 별도로 개인과 가정, 기업과 공공기관에 걸쳐 빚어진 혼란의 후유증은 클 듯하다. 위치나 교통 정보가 없으면 겪는 불편함이나 신용카드 결제 불능 시 빚어진 치명적인 상황도 경험했다. 개인과 기업, 공공기관이 단 한순간도 통신 네트워크에 의존하지 않고 살아갈 수 없는 초연결사회에서 이번 사고보다 훨씬 더 큰 재난이 발생한다면 경제·사회 시스템 자체를 뒤흔들 대혼란이 빚어질 것이다. 통신망 보호를 위해 화재나 자연재해에 대한 빈틈없는 준비와 함께 테러 같은 의도적 공격으로 발생할 상황에도 더 촘촘하게 대비책을 강구해야 한다. 이번 기회에 통신과 유사한 다른 공공재 기간시설도 함께 점검하는 게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