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동정담
[필동정담] 의인화된 식물 이름(2019.7.26.)
joon mania
2019. 7. 26. 09:32
[필동정담] 의인화된 식물 이름(2019.7.26.)

주변에서 쉽게 접하는 나무에 스님들을 빗댄 이름이 많다. 활엽수인 참죽나무는 어린 순으로 나물이나 전을 만들어 먹을 정도로 유용했다. 진짜 중처럼 도움을 준다는 의미로 참중나무로 부르다 참죽나무로 바뀌었다. 비슷한 수종이지만 독이 있는 데다 냄새가 심해 식용이 불가능한 가죽나무도 있다. 참죽나무에 대칭해 가죽나무로 불렀다. 가짜 중이라는 의미로 가중나무, 한자어로 가승목(假僧木)이다. 그늘을 가려주는 가로수로는 유용하나 매미들이 번식하는 거점으로 삼아 농부들은 싫어했다.
열매에 기름 성분이 풍부해 동백기름 대용으로 썼던 때죽나무는 때중나무로 불리다 바뀌었다. 가을에 매달린 열매들 머리가 회색으로 반질반질해서 스님들이 떼로 몰려 있는 모습처럼 보인다고 붙인 이름이다. 열매 찧은 물을 풀면 물고기가 떼로 죽어 생겼다거나, 열매와 가피를 물에 불려 그 물로 빨래를 해 때를 쭉 빼는 용도로 쓰여 생긴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
풀과 꽃 이름을 의인화한 조상들의 해학을 보면 참 재치가 넘친다. 주말에 아내와 가는 풀꽃이름 공부모임에서 많이 배웠다. 사연을 알고 난 뒤 풀꽃 생김과 이름을 떠올리면 의미가 달라 보인다. 산과 들을 걸을 땐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딱 맞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