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靑 새 민정수석 민심부터 제대로 읽어라(2019.7.27.)

joon mania 2020. 2. 24. 14:15

[사설] 靑 새 민정수석 민심부터 제대로 읽어라(2019.7.27.)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청와대 수석비서관 3명을 교체했다. 민정수석에 김조원 한국항공우주산업 사장, 시민사회수석에 김거성 전 한국투명성기구 회장, 일자리수석에 황덕순 일자리기획비서관 등으로 이미 거론된 인사들이었다. 전임자들이 입각이나 내년 총선 출마를 위해 물러나면서 이뤄진 인사인데 야당에서는 또 회전문 인사라는 비판을 쏟아냈다.
시중 여론과 언론의 관심은 물러나고 새로 들어온 전·현직 민정수석들에게 쏠린다. 두 사람 모두 문 대통령과 개인적으로 오랜 친분을 가진 측근이라는 점과 민정수석이라는 직책으로 수행해야 할 역할의 무게와 중요성 때문이다. 조국 전 수석은 최근 한일 갈등 국면에서 페이스북 게시글을 통해 반일 감정을 부추기며 민정수석이라는 대통령 참모로서보다는 대중정치인 같은 행태를 보여 논란을 키웠다. 문 대통령은 그를 법무장관으로 기용하려 한다는데 검찰을 감독하는 법무부에 대한 대통령 친정 체제 구축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감사원 사무총장을 역임한 김조원 신임 민정수석은 비검사 출신이라는 점에서는 조 전 수석과 유사하다. 검경 수사권 조정, 검찰개혁,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립 등 사법개혁 작업에 어떤 역할을 해낼지 주목해봐야겠다.
청와대 민정수석은 우선 고위공직자에 대한 인사 검증에 빈틈을 드러내지 않아야 한다는 점에서 김 수석의 어깨가 무겁다. 문재인정부에서 장관급으로 중도 사퇴한 경우만 10여 명에, 국회로부터 청문보고서 채택을 거부당한 채 임명 강행한 이가 16명에 달한다는 사실은 여야 충돌을 감안하더라도 제대로 된 인사 검증을 했다고는 보기 힘들다는 방증이다. 집권 중반으로 넘어가면서 흐트러질 수 있는 공직 기강을 확립하고 권력 안팎의 부패와 비리를 점검하는 일에도 구멍이 생기지 않도록 다잡아야 한다. 무엇보다 민정수석은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민심을 제대로 살피고 이를 대통령에게 가감 없이 전달하는 역할에 진력을 다하기 바란다. 김 수석은 문 대통령과 두터운 친분을 쌓았다니 대통령 귀에 따가운 얘기도 서슴없이 꺼낼 것을 강력히 주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