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독도 영유권 표기 원상회복 (2008.8.1)
지명 자체는 리앙쿠르록스 그대로
미국 지명위원회(BGN)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독도에 대한 영유권 표기를 `주권 미지정지역(Undesignated Sovereignty)`에서 다시 `한국(South Korea)` 또는 `공해(Oceans)`로 원상복구했다.
BGN은 이날 오후 6시께(미국 동부시간) 데이터베이스인 `지오넷`의 독도 영유권 부분을 `한국(South Korea)` 및 `공해(Oceans)`로 바꿨다. 하지만 독도의 지명 표기는 `리앙쿠르 록스`를 그대로 유지했다.
이에 앞서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은 BGN의 독도 관련 표기 변경을 원상복구하도록 결정하고, 이를 곧바로 시행할 것을 국무부에 지시했다. 또 이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관계자를 통해 주미 한국대사관에 통보했다.
이태식 주미 한국대사는 이날 오후 3시께 제임스 제프리 백악관 안보담당 부보좌관으로부터 부시 대통령의 지시 내용을 전해받고 워싱턴 특파원들에게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한편 당정은 이날 독도대책 협의를 하고 `리앙쿠르 록스`로 돼 있는 미국 정부기관의 독도 표기를 `독도`로 변경하는 데 주력하기로 했다.
또 독도 영문 표기를 `Dokdo`로 단일화하기로 합의했다.
[워싱턴 = 윤경호 특파원 / 서울 = 전정홍 기자 / 강다영 기자]
美국무부, 독도 표기 문제점 시인 분쟁영토 표기 방식 재검토
미국 국무부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독도를 `주권 미지정 지역`으로 표기한 미 지명위원회의 결정에 문제가 있었음을 시인했다. 또 전 세계 분쟁영토 표기 문제를 원점으로 되돌린 다음 향후 기술적 사항과 정치적 함의, 외교적 판단 등을 종합해 한꺼번에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숀 매코맥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을 통해 독도 표기의 원상 회복이 미국 정부 정책에 부합하는지 묻는 질문에 "이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예외와 데이터베이스의 오류가 발견돼 그 같은 결정이 내려졌다"고 말했다. 미 지명위원회의 독도 표기 변경에 문제가 있었음을 인정한 셈이다.
또 매코맥 대변인은 데이터베이스에 여러 가지 오류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기 때문에 독도 표기를 원상 회복시키고 데이터베이스 전체를 신중하고 종합적으로 들여다보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와 함께 주권 미지정 지역 여부를 "부분적으로 다루는 대신 기술적 측면뿐 아니라 정치적인 의미와 외교적인 고려 등을 관계 기관들이 종합적으로 따져 전 세계 지역을 한꺼번에 동시에 검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워싱턴 = 윤경호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