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니까 전경련 해체론 나오는 것 아닌가(2012.7.4.)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부설 국제경영원에서 마련한 '차세대 리더십 캠프'에 국회의원 자녀들만을 불러 행사를 하려다 취소한 사태는 어떤 변명으로도 넘어가기 어려운 부끄러운 일이다. 사회 여러 계층의 대학생 자녀들을 불러 시장경제를 교육시키고 산업시찰 등으로 현장을 익히는 프로그램이라는데 결과적으로는 국회의원들을 상대로 하는 로비 시도의 일환으로 비쳤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일련의 과정이 허창수 전경련 회장에게 보고되지 않고 국제경영원을 맡고 있는 정병철 부회장의 지시와 승인 아래 이뤄진 것이라니 더 어처구니없다. 재계의 대표 경제단체인 전경련을 국회의원 자녀들이나 모셔다 공짜 교육과 여행이나 시키는 로비 집단으로 전락시켰으니 그에 상응하는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정치권에서 19대 국회 개원과 연말 대선에 맞춰 경제민주화 논의와 관련 법제화에 무게를 싣고 있는 것은 갈수록 심화되는 사회 양극화와 대기업의 경제력 편중 현상에 대한 반발이라는 점을 전경련은 모르고 있는 듯하다. 그렇지 않고서야 '자녀들을 통한 로비로 국회의원들을 설득하려 했다'는 비아냥을 듣는 이런 유치한 시도를 요즘 같은 민감한 시기에 할 수 있었겠는가. 전경련은 지난해에도 정 부회장 주도로 반기업정책 완화를 위해 회원사들에 실세 국회의원들을 할당해 로비하려는 계획을 마련했다가 폭로돼 물의를 빚은 바 있다. 이런 헛발질이 전경련 해체론이라는 비판을 부르는 것이다. 당장 김종인 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은 "전경련이 계속 그런 식으로 가려면 해체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했다. 정운찬 전 동반성장위원장도 지난 3월 대기업의 이해만 대변하는 전경련의 발전적 해체를 생각해봐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허창수 회장과 전경련 회원사들은 이번 캠프 취소 소동을 해프닝으로 치부하고 묵과해선 더 큰 화를 초래할 것이다. '나비효과'라는 말처럼 이런 작은 일이 전경련이란 존재를 휩쓸어버리는 쓰나미를 부를 수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