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금융이 취약해 터키原電 수주 日에 패했다(2013.5.6.)
흑해 연안 시노프에 건설하는 220억달러(약 23조원)짜리 터키 원전공사를 일본 미쓰비시중공업과 프랑스 아레바 컨소시엄이 수주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일본이 국외 원전 건설 사업권을 처음 따낸 것이어서 일본 안에서는 물론 세계적으로 비상한 관심을 끄는 일이다. 터키 원전 수주에는 일본 외에 중국 캐나다 한국이 경쟁했지만 일본의 저금리를 무기로 한 공격적인 금융조건 제시가 결정적으로 좌우했다. 원전 건설에는 대규모 자금이 들어가는 만큼 통상 해당 정부가 사업을 보증한다. 하지만 터키는 이례적으로 정부 보증 없이 사업자가 자체 재원을 조달할 것을 요구했다. 발전소부터 지어주고 전기를 판매해 사업비를 회수하라는 것이다. 최저 전기요금 하한선도 보장해주지 않았다. 일본은 이런 악조건을 감수하겠다고 나섰다. 한국 컨소시엄은 안간힘을 쓰며 터키 측에 5.3% 조달금리를 겨우 제시했는데 일본은 경쟁국들에 비해 1.0~2.0%포인트 낮은 파격적인 선을 내놓았다고 한다. 앞으로는 국제 수주전에서 금융조달 경쟁력이 더 결정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다른 개도국들도 발주하면서 터키와 비슷한 조건을 내걸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2009년 UAE 원전 수주 때는 자산 규모 세계 50위 이내 대형 은행 보증서를 받아오라는 요구에 영국 SC은행에 수수료를 주며 손을 벌린 뒤 국내 금융회사 대형화 필요성을 절감한 바 있다. 김준동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원전뿐 아니라 자원개발사업에서 우리 금융경쟁력을 보강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근혜 정부가 시급히 추진해야 할 과제다. 일본은 UAE 원전사업에서 한국에 물먹은 뒤 수출전담회사인 국제원자력개발을 세웠다. 도쿄 간사이 등 9개 전력사와 미쓰비시 히타치 등 민간 회사가 손잡았다. 이번 터키에서 국제원자력개발은 큰 역할을 해냈다. 민관이 함께 나선 총력체제의 중요성을 절실히 보여줬다. 올해 말 핀란드 1기와 내년 이후 UAE 추가 발주가 있고, 사우디아라비아도 원전 건설을 검토 중이다. 2009년 UAE 원전 수출의 쾌거를 이어 나가려면 우리 약점을 어떻게 보완해야 할지 빨리 파악하고 실행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