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5시간 의총서 계파싸움만 한 한국당, 아직도 정신 못 차렸나(2018.6.23.)
6·13 지방선거 패배 후유증에 시달리는 자유한국당의 내홍이 악화 일로로 치닫는 형국이다. 김성태 대표 권한대행은 22일 계파 논란을 일으킨 메모를 노출한 박성중 의원을 당 윤리위원회에 제소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박 의원이 지난 19일 한 모임에서 친박계 축출을 뜻하는 내용의 메모를 본 게 언론에 포착됐는데 계파 갈등 불씨를 지핀 행위여서 책임을 묻겠다는 것이다. 김 대행은 이미 제시한 혁신안대로 다음주에 혁신비상대책위원회 준비위를 출범시키겠다며 정면 돌파한다지만 파열음은 잦아들지 않고 있다. 지난 21일 열린 의원총회에서는 지방선거 패배의 책임을 놓고 친박계와 비박계 간 공방이 치열했다. 친박계는 김 대행의 사퇴와 함께 비박계 좌장인 김무성 의원의 탈당을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초·재선 의원들이 25일 연석회의를 한다는데 친박계가 주축이어서 김 대행 퇴진 요구가 또 나올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김 대행과 비박계 측은 친박의 망령이 되살아나 당을 혼돈에 빠뜨린다며 주도권을 놓지 않겠다는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다. 개별 의원의 성향이 친박인지 비박인지를 떠나 정치인이라면 이번 지방선거에서 한국당과 후보들에게 내려진 민심의 철퇴가 어떤 의미인지 쉽게 인지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현시점에서 필요한 일은 지방선거 패배 후 수습책을 어떻게 강구해야 할지 지혜를 모으는 것이다. 하지만 5시간20분간 이어진 의원총회에서는 당 혁신안이나 새 비상대책위원장 후보에 대한 논의는 뒤로 밀어버린 채 친박계의 김 대행 사퇴 요구와 비박계의 김 대행 방어에 매몰돼 자중지란에 빠졌으니 아직도 정신을 못 차리는 모습이 한심하기 이를 데 없다. 제 앞가림도 못하는 한국당에 보수(保守)를 보수(補修)하라는 주문을 해봐야 받아들일 역량이 있는지 뻔해 보여 부질없는 일일 듯하다. 그래도 원내 112석을 가진 제1야당으로서 최소한 해야 할 기본 책무는 수행하기를 요구한다. 민갑룡 경찰청장 내정자 인사청문회도 열고, 정부가 발표한 검경 수사권 조정안 심의 등 현안 처리를 위해서는 당장 원 구성 협상부터 나서야 할 것이다. 국회 운영 정상화는 당 내홍 수습과 별도로 가는 것이 맞는 방향이다. |
'사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미군 떠난 용산, 개발 밑그림 길게 보고 잘 그리자(2018.6.30.) (0) | 2018.12.25 |
---|---|
[사설] 트럼프 보호무역정책에 부메랑 된 할리데이비슨의 유럽행(2018.6.27.) (0) | 2018.12.25 |
[사설] 수사권 힘 실리는 경찰 향한 우려, 국회 심의서 철저히 살펴야(2018.6.22.) (0) | 2018.12.25 |
[사설] 알바전쟁에 내몰리는 청년들, 일자리정부는 보고 있나(2018.6.19.) (0) | 2018.12.25 |
[사설] 정부의 안이한 인식에 경종 울린 일자리 쇼크(2018.6.16.) (0) | 2018.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