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SNS 정치무기화 현실로 나타난 페이스북 개인정보 유출(2018.3.21.)
페이스북 사용자 5000만여 명의 유출된 개인정보가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운동에 무단 활용됐다는 의혹의 후폭풍이 거세다.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를 지원한 영국 데이터 분석회사 케임브리지애널리티카(CA)가 페이스북 데이터로 유권자 성향을 파악하고 그들을 겨냥한 정치 광고나 메시지를 유포했다는 것이다. CA는 스마트폰 성격검사 앱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하면서 응답자에게서 앱을 추천받은 페이스북 친구 정보를 함께 모았다고 한다. 페이스북 측은 본인들에게서 정보가 유출된 게 아니라 성격검사 앱에서 CA에 넘어간 것이 문제의 핵심이라고 선을 그었지만 비난의 화살은 피해 가기 어려운 상황이다. 미국과 영국 의회는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에게 직접 출석해 증언할 것을 요구했다. 영국 정부는 CA의 페이스북 개인정보 불법 취득과 이용 여부 조사에 나섰다. CA는 트럼프 선거본부에서 590만달러를 받은 것을 비롯해 2014~2016년 20여 명의 공화당 후보와 정치단체에서 1600만달러 이상을 벌어들였다니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관련 의혹이 언론에 보도된 뒤 19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페이스북 주가는 지난 4년래 가장 큰 하락 폭인 6.8% 떨어져 하루 새 시가총액이 370억달러가량 증발했을 정도로 충격은 크다.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온라인과 모바일을 통해 생활 속에 깊숙하게 자리 잡았다. 하지만 플랫폼의 교묘한 구조와 개인의 무의식적 동의가 뒤섞이며 SNS에 담긴 개인정보 공개나 유출 위험은 갈수록 커졌다. 특히 다수 사용자를 거느린 SNS가 정치집단이나 특정한 목적을 가진 세력에 의해 악용될 경우 걷잡을 수 없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지적이 만만치 않게 제기됐는데 이번 페이스북의 개인정보 유출은 우려가 현실에서 고스란히 나타난 셈이다. 우리도 페이스북 사태를 남의 일로만 봐서는 안 된다. 네이버나 카카오톡 같은 포털과 SNS가 해당 영역에서 압도적인 시장을 점유하며 많은 이용자를 갖고 있는 만큼 개인정보 유출과 무단 활용 위험에 항상 노출돼 있다. 개인정보 데이터 보안을 위한 안전장치 마련에 더 고삐를 조이고 유출과 무단 활용에 대한 징벌 규정도 강화해야 한다. |
'사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본격화된 美-中 경제전쟁 강 건너 불 아니다(2018.3.24.) (0) | 2018.12.20 |
---|---|
[사설] 文 해외순방에 300명 경제사절단, 이런 비즈니스 외교 좋다(2018.3.22.) (0) | 2018.12.20 |
[사설] 청년 일자리대책 세금만 낭비하고 끝나지 않게 하려면(2018.3.16.) (0) | 2018.12.20 |
[사설] 장애 극복하고 물리학계 한 획 그은 호킹 박사를 보내며(2018.3.15.) (0) | 2018.12.20 |
[사설] 글로벌 무역전쟁 시대 TPP 가입 미적댈 이유 없다(2018.3.13.) (0) | 2018.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