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기업과 자주 소통하라는 文대통령의 주문 환영한다(2018.7.4.)

joon mania 2018. 12. 25. 16:01

[사설] 기업과 자주 소통하라는 文대통령의 주문 환영한다(2018.7.4.)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일 열렸던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참모들에게 기업의 애로를 청취해 해소해주는 게 중요하다며 기업과 자주 소통하라고 말했다고 한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와 정부가 기업과 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현장을 적극적으로 방문하라는 지시도 했다는 것이다. 지난주 청와대 경제수석과 일자리수석 등 경제참모들을 바꾸는 인사를 단행한 뒤 이들과 처음 함께한 회의라 대통령에게서 어떤 얘기가 나올지 기대를 모았는데 매우 환영할 일이다.
문 대통령과 청와대 참모의 기업 관계자와의 만남이나 일선 현장 방문이 전혀 없었던 건 아니지만 새 정부 출범 후 기류는 그렇게 활발하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현대차의 자율주행차 운행을 둘러보고 일자리 나누기 모범기업으로 뽑힌 한화큐셀의 태양광 셀 생산공장을 찾아간 바 있다. 지난 4월엔 혁신성장을 독려하기 위해 서울 마곡에 문을 연 LG사이언스파크를 방문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기업 총수들과의 만남에는 일정한 선을 그어놓고 기회를 만들지 않아 의식적으로 피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지난해 취임 후 두 달도 안된 7월에 청와대 상춘재로 몇몇 대기업 오너들을 초청해 호프미팅을 가졌을 때만 해도 새 정부와 기업 간에 원활한 소통이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했는데 이후 오히려 꽉 막혀버렸다.
새 정부는 최저임금 인상이나 근로시간 단축 등 소득주도성장을 내세운 일련의 정책을 추진하면서 기업을 몰아붙이기만 할 뿐 함께 손잡고 가는 동반자로는 대접하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경제정책을 친노동 반기업 기조 아래 끌고 간다는 지적에서 결코 자유롭지 못했다. 그러나 새 정부 경제정책의 한 축인 혁신성장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기업의 경쟁력을 키우고 성장동력을 북돋워줘야 한다는 점에서 기업의 기 살리기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지난주 대통령이 주재하려던 규제혁신회의를 성과 미흡을 질타하며 전격 취소한 바 있는데 기업과 생산 현장에서 요청하는 규제 개혁에 정부가 성의와 진정성을 갖고 나서야 한다. 기업과 자주 소통하라는 문 대통령의 주문은 경제부처 장관들이나 청와대 참모들이 단순히 기업과의 만남을 늘리는 차원을 넘어서야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대통령의 말처럼 기업의 애로와 의견을 들은 뒤 이를 풀어주고 지원하는 조치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