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동정담]생태계 교란 생물(2020.11.3.)
2010년 생물다양성협약 총회에서 생물다양성 보전 목표 하나가 추가 선정됐다.각 국 생태계를 흔드는 `침입 외래종 제거`다.외래종이 토착생물을 밀어내고 왕성하게 퍼져 생태계를 교란하는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판단에서다.유전자 변형으로 나온 종뿐만 아니라 외래생물도 고유 생태계를 흔든다고 본 것이다.
애완용으로 키우다 하천에 방생된 붉은귀거북은 야생에서 붕어나 미꾸라지를 무차별로 잡아먹고 영역을 늘렸다.급기야 토종 남생이의 서식지를 빼앗아버려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됐다.갑각류 중에는 미국가재가 있다.곤충과 수중식물을 싹쓸이 수준으로 먹어치운다.관상용으로 수출된 가물치가 미국 호수에 풀어진 뒤 그 쪽 생태계를 흔들고 있으니 피장파장이다.가을철 쉽게 보는 서양등골나물은 하얀 밥을 뿌려놓은 듯 보여 깜깜한 밤에도 숲을 환하게 밝혀주는데 왕성한 번식력으로 토종을 밀어내고있어 제거 대상이다.빨간 대가 눈길을 확 끄는데다 뿌리도 인삼처럼 생긴 미국자리공은 생태계 교란 생물이었다가 해제됐다.강한 독성이 있지만 어린 잎을 데쳐 나물로 먹는 이들까지 생겼다.
우리는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생태계 교란 생물을 매년 추가하고 있다.포유류인 뉴트리아,양서류에서는 황소개구리,어류 중에는 큰입배스 등이 대표적이다.식물중에는 돼지풀,가시상추,환삼덩굴 등이다.2020년 들어 미국가재,리버쿠터,아르헨티나개미 등 동물 6종과 식물에서 마늘냉이 1종을 더하면서 총 14종의 동물과 16종의 식물이 지정돼있다.바람이나 물의 흐름 같은 자연 현상으로 유입되는 생물이야 어쩔 수 없다.하지만 인위적으로 사육,방사 또는 재배해 초래되는 생태계 교란은 막아야 한다.관련법도 처음엔 반입만 처벌하다가 치명적인 어류 피라냐 방류사태후 유사 행위도 처벌 대상에 추가했다.어떤 경우든 인간이 자연을 법으로 제재하는 일이라 껄끄럽고 찜찜하다
'필동정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동정담]악마화의 시대 (2020.12.1.) (0) | 2020.11.30 |
---|---|
[필동정담] 타이거 클럽 (2020.11.17.) (0) | 2020.11.17 |
[필동정담]온라인 지역화폐(2020.10.20.) (0) | 2020.10.20 |
[필동정담]각광과 후광(2020.10.6.) (0) | 2020.10.06 |
[필동정담]신하의 유형 (2020.9.18.) (0) | 2020.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