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민주당, 車산업지원 법안 내달로 연기(2008.11.22)
업계에 자구 방안 요구
미국 민주당 지도부가 20일(현지시간) 위기에 처한 자동차산업 구제법안 표결을 다음달로 연기한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또 `빅3` 자동차업체에 대해 경영진과 노조의 양보안을 담은 자구방안과 지원 자금 사용계획을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과 해리 리드 상원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통해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민주당은 추수감사절 휴회를 거쳐 12월에 `레임덕 회기`를 다시 소집해 자동차산업에 대한 구제법안 처리를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의회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민주당은 당초 자동차업체들에 운영자금 부족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기존 금융권에 대한 7000억달러 구제금융 자금 가운데 250억달러를 지원하는 내용의 법안을 처리하려 했다.
하지만 지난 19일 저녁 법안 표결을 취소하기로 결정한 뒤 이날 후속 방침을 밝힌 것이다.
펠로시 의장은 "자동차업체 경영진이 자구계획을 제시하기 전까지는 돈을 줄 수 없다"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 리드 원내대표는 "자동차업체 경영진은 이번 구제법안이 자신들의 마지막 도움 요청이 될 것이라는 점을 국민과 의회에 납득시키지 못했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한편 자동차업체의 이해를 대변하는 민주-공화 양당 소속 상원의원 4명이 빅3 업체를 지원하기 위한 별도의 구제법안을 마련했다고 CNN이 보도했다.
민주당 소속 칼 레빈(미시간주), 데비 스테이브노(미시간주) 그리고 공화당 소속의 키 본드(미주리주), 조지 보이노비치(오하이오주) 상원의원은 연료 효율이 높은 자동차 개발을 위해 업체에 지원되고 있는 250억달러 자금을 빅3의 운영자금 부족에 쓸 수 있도록 하자는 내용의 법안을 만들었다.
[워싱턴 = 윤경호 특파원]
'미국경제:서브프라임과 리먼 사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바마, 차업계 지원 대신 경영진 퇴진 압박(2008.12.9) (0) | 2015.07.31 |
---|---|
美FRB 8000억弗 자금지원 나선다(2008.11.27) (0) | 2015.07.31 |
美 자동차 빅3 구제안 결국 좌초(2008.11.21) (0) | 2015.07.31 |
폴슨 재무, 구제금융방식 황급히 바꾼 이유는?(2008.11.14) (0) | 2015.07.31 |
미국發 세계 자동차 대전(2008.11.10) (0) | 2015.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