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새 구제금융방안 발표…부실자산 5천억弗 매입(2009.2.11)
유동성지원 1조弗로 확대
버락 오바마 새 행정부가 금융회사 부실자산 매입에 5000억달러, 가계와 기업의 모기지 및 학자금 대출 부실 해소를 위한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유동성 지원 1조달러 등 총규모 1조5000억달러에 달하는 구제금융책을 새로 내놓았다.
티머시 가이트너 미국 재무장관은 10일 오전(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의 `금융 안정 및 회생` 계획으로 새로 이름 붙여진 금융시장 구제금융방안을 직접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전임 조지 부시 행정부가 마련했던 부실자산구제계획(TARP)에 의한 7000억달러 가운데 2차 집행분 3500억달러를 포함해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구제금융에 새로운 자금을 투입하는 것이다.
오바마 행정부는 이날 상원에서 처리된 8270억달러의 경기부양책과 이번 금융시장 구제금융방안을 통해 금융시장 안정과 함께 경제회생을 위한 전환점을 만들겠다는 복안이다.
가이트너 장관이 밝힌 `금융 안정 및 회생` 계획에 따르면 금융회사 부실자산 매입에는 민간과 정부가 함께 참여하는 방식으로 최대 5000억달러가 투입된다. 이를 위해 민간-정부 공동 기금 형식으로 새로운 형태 배드뱅크가 설립된다.
FRB는 가이트너 장관의 발표와는 별도로 이날 은행 등 금융회사의 신용경색 해소를 위한 긴급유동성 지원창구인 자산담보부증권대출창구(TALF)의 지원 규모를 2000억달러에서 1조달러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모기지와 자동차, 학자금 대출 등 가계와 기업의 부실 대출 지원을 위한 은행들의 유동성 확보 창구를 1조달러까지 열어두는 것이다.
[워싱턴 = 윤경호 특파원]
'미국경제:서브프라임과 리먼 사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 부양안 7890억달러로 최종확정(2009.2.13) (0) | 2015.08.04 |
---|---|
美 공공·민간 공동펀드 만들어 금융 부실자산 매입(2009.2.11) (0) | 2015.08.04 |
美 금융 보호주의 갈수록 태산(2009.2.9) (0) | 2015.08.04 |
미 상원 8270억 달러 경기부양안 10일 표결(2009.2.9) (0) | 2015.08.04 |
경기부양책에 극단적 보호주의로 치닫는 미 상원(2009.2.9) (0) | 201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