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안전행정부 출범 불구 대형사고 왜 더 잦나(2013.3.16.)

joon mania 2015. 8. 17. 17:23
안전행정부 출범 불구 대형사고 왜 더 잦나(2013.3.16.)
 
그저께 밤 여수산업단지 내 대림산업 폴리에틸렌 저장탱크에서 폭발 사고가 나 근로자 17명이 죽거나 다쳤다. 올해 들어 전국 대형 공장에서 발생한 여섯 번째 사고다. 탱크 보수를 위한 용접 작업 도중에 일어났다는데, 탱크 속 탄화수소를 다 빼냈는지만 미리 확인했어도 막을 수 있었다. 특히 지역 내 기관장과 산업단지 관계자들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협의와 시연회를 진행한 지 11시간 만에 사고가 터졌다니 어처구니없다. 
올해 들어 1월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에서 불산 누출로 5명이 사상했다. 구미에서는 작년 8월 불산 사고로 특별재난지역까지 선포된 데 이어 올해 LG실트론 화학물질 누출, 구미케미칼 염소가스 누출, 기름탱크 폭발 등이 잇따라 터졌다. 구미나 여수 등 40년 넘은 국가산업단지에서는 안전사고가 빈발하고 있다. 업체 대부분이 인화성ㆍ폭발성 있는 유독물질을 취급하는데 낡은 시설로 언제 문제가 생길지 모르는 상황이다. 여수 산단 내에는 가동된 지 30년 넘은 대형 공장만 5개에 달한다. 
총체적인 점검을 한 뒤 노후된 장비를 빨리 교체해야 한다. 산단에서는 화학물질 보유 현황을 공개해 위험성을 인식시킨 뒤 어떤 안전장치를 두고 있는지 외부에 알려야 한다. 기관별로 나뉘어 있는 재난관리를 통합하는 일도 시급하다. 유해 화학물은 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환경부가 맡고, 독성가스는 고압가스관리법 등을 적용해 자치단체가, 위험물은 위험물안전관리법에 의해 관할 소방서에서 각각 맡고 있는데 이렇게 해서는 책임 회피만 가져올 수 있다. 사고 때마다 임기응변식 땜질 대책만 되풀이하면 불안만 키우고 불신만 얻을 뿐이다. 일선 사업장, 안전관리 담당 공무원 그리고 해당 지역 주민 모두 느슨해진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다잡는 일이 무엇보다 우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