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어제 우리가 제안한 이산가족 상봉 실무접촉을 수용하겠다면서 금강산 관광 재개 실무회담도 22일 하자고 답했다. 북측은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 담화를 통해 "추석을 계기로 금강산에서 흩어진 가족과 친척 상봉을 진행하며 10ㆍ4 선언 발표일에 즈음하여 영상 상봉을 진행하도록 한다"고 밝혔다 개성공단 재가동에 원칙적으로 합의한 후 박근혜 대통령이 8ㆍ15 경축사를 통해 이산가족 상봉을 제의한 데 이어 정부는 이번주 23일 적십자 실무접촉을 하자고 제시했다. 또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후속 조치로 한국전력과 KT 등 시설점검팀이 지난 17일 사전 점검차 현장에 다녀왔다. 이번주에는 남북 간 공동위 구성을 위한 합의서 협의도 진행될 것이라고 한다. 이와 함께 대한적십자사는 국제적십자사연맹(IFRC)을 통해 10만달러 규모 대북 수해 지원을 하기로 했다. 북한은 개성공단 정상화 합의 후 노동신문을 통해 "북과 남의 화해와 단합의 길이 열리게 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며 "앞으로 화해와 단합, 민족의 대단결을 위해 성의 있는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늘부터 시작되는 한ㆍ미 을지프리덤가디언 군사훈련을 앞두고 북측이 이런 성명을 낸 것은 긍정적이란 평가다. 북측이 개성공단 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은 리위안차오(李源潮) 중국 국가부주석이 지난달 평양을 찾았을 때 "무지개를 보고 싶다"며 압력을 가한 데서 비롯됐다는 해석도 있다. 노동신문이 지난 5년간(이명박정부 시절) 대립 관계를 해소해야 한다고 나선 것은 표면적으로 상당한 변화다. 북측은 남북 간 왕래와 접촉, 협력과 교류를 가로막는 제도적 장치들이 철폐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따져보면 금강산ㆍ개성공단 재개에 응한 것은 북한의 외화벌이에 중요한 창구였다는 실리를 염두에 둔 측면이 있다. 북측이 핵 실험, 미사일 발사, 전쟁 운운하며 험악한 분위기를 연출했던 게 엊그제다. 따라서 북측은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 재개를 뛰어넘는 전향적 자세를 보여줌으로써 진정성을 증명할 차례다. 박 대통령이 제안한 DMZ 평화공원 설치 문제, 북핵을 풀어낼 6자회담 등도 적극 호응할 일이다. 사안별로 핑퐁게임하듯 가볍게 제안만 할 게 아니다. 남북 간 장관회담을 열어 여러 현안을 종합적으로 논의할 때가 됐다.
'사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산가족 상봉장소 = 금강산'이제 바꿔라 (2013.8.21.) (0) | 2015.08.20 |
---|---|
박근혜정부 6개월 경제 성적표 뭘 보여줬나 (2013.8.20.) (0) | 2015.08.20 |
고용노동부 産災사고 종합대책 제대로 마련하길 (2013.8.19.) (0) | 2015.08.20 |
최악 전력난에 국민 분노케한 권력형 원전비리 (2013.8.16.) (0) | 2015.08.20 |
광복절에 다시 생각하는 日아베정권의 폭주 (2013.8.15.) (0) | 2015.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