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산가족 상봉장소 = 금강산'이제 바꿔라 (2013.8.21.)

joon mania 2015. 8. 20. 16:33
이산가족 상봉장소 = 금강산'이제 바꿔라 (2013.8.21.)


남북 간에는 1985년 '남북 이산가족 고향방문단'을 통해 남측 35명, 북측 30명이 처음 헤어졌던 가족을 만났다. 이후 15년 만인 2000년 남북정상회담 후 다시 성사돼 그해 8ㆍ15 때부터 2010년 연평도 포격으로 중단될 때까지 18차례 상봉 행사를 열었다. 이번에 남북이 3년 만에 재개를 합의했으니 앞으로는 어쩌다 열리는 이벤트 방식을 벗어나 한 단계 진화한 틀을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 우선 북측 관할 지역인 금강산에서 상봉하는 행사부터 바꿔야 한다. 1~3차 상봉은 서울과 평양에서 동시에 열렸다. 양측에서 100명씩 날아가 2박3일간 헤어졌던 가족을 만났다. 노무현정권 때인 2002년 4월 4차 때부터 금강산으로 장소가 바뀌었다. 주민들이 서울에 와서 본 남한의 발전된 모습에 놀라고 돌아가서는 입소문을 퍼뜨리는 것을 원치 않은 북측 요구를 들어주었기 때문이다. 금강산 상봉 행사는 교통이나 숙박시설의 불편함도 있지만 무엇보다 관할 구역을 내세운 '북측 맘대로' 자세 때문에 문제를 낳았다. 2004년 9차 땐 남측 진행요원이 천출명장(天出名將)이라고 바위에 쓰인 글귀를 놓고 '천민 출신 장군이란 의미냐'고 농담을 하자 북측은 사과를 요구하며 상봉을 중단시킨 일도 있었다. 이번엔 추석을 맞아 만남을 성사시키기로 했으니 서둘러 준비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그렇다 해도 상봉 장소로 금강산을 고집할 일이 아니다. 서울과 평양 상호 방문이 바람직하지만 어렵다면 양쪽 중립지대인 판문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것도 방법이다. 그래야 북측이 이산가족을 볼모로 자행하는 고압적이고 무리한 행동을 할 수 없을 것이다. 상봉 규모를 늘리고 방식도 다양화해야 한다.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한 남측 12만8842명 중 5만5960명이 북측 가족을 만나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다. 남은 7만2000여 명 중 80%가 70대 이상이고 그 가운데 절반은 80대 이상이다. 하루빨리 서신 교환과 영상 상봉부터 허용하고 만남을 정례화해야 한다. 영상 상봉은 2005년부터 2007년 11월까지 제한적으로 실시됐다. 우리 정부가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 재개를 분리해 대응키로 한 것은 잘했다. 행여라도 북측이 금강산 관광 재개를 내세워 이산가족 상봉의 발목을 잡으려 한다면 단호하게 선을 그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