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尹외교 위안부 연설 국제 공론화 출발점으로(2014.3.7.)

joon mania 2015. 8. 27. 16:35
尹외교 위안부 연설 국제 공론화 출발점으로(2014.3.7.)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유엔 인권이사회 기조연설에서 위안부 문제를 직접 거론하며 공세적으로 나선 것은 과거사 분쟁에 대한 국제 선전전에서 우리의 큰 기조 변화를 읽게 한다. 외교수장이 처음으로 국제회의에서 종래의 에두르는 표현 대신 '위안부'라는 용어를 쓰며 일본 정부에 역사적 반성과 문제 해결을 공식 요구했기 때문이다. 일본도 이에 맞서 같은 회의에서 입장을 설명하고 반론에 나섰으니 과거사 해석과 진실 알리기를 둘러싼 한ㆍ일 간의 전면전은 이미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일본 언론은 윤 장관의 연설에 대해 사실 보도만 했고 극우 성향의 산케이신문은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일본의 부당성을 호소하는 움직임을 강화하고 있다"며 "양국 간 대립은 더욱 격화될 전망"이라고만 전했다. 유엔 인권이사회에는 평소 장관급 인사들이 50명 정도만 참석했으나 이번에는 98명에 달할 만큼 관심이 높았고 윤 장관의 연설은 공감을 얻었다고 한다. 네덜란드 제네바대표부 대사는 윤 장관의 주장에 감응해 자신의 연설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거론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일을 계기로 국제사회를 향해 일본의 민낯을 알리는 작업의 강도를 높여야 한다.사쿠라다 요시타카 문부과학성 부대신은 사흘 전 고노담화 수정 집회에 참석해 "일본군 위안부는 거짓말ㆍ사실 날조"라는 망언까지 했다. 위안부 문제는 일본 정부 공문서를 통해서도 일본군에 의해 계획되고 조직화한 범죄임이 속속 드러났다. 1991년 피해 할머니 16명의 용기 있는 증언에다 자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일본 정부가 1993년 '고노 담화'로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하고 사죄했는데 이를 이제 와서 뒤집겠다니 지탄받아 마땅하다. 위안부 피해자는 중국, 네덜란드, 필리핀 등에도 있으니 국제연대를 형성해 일본을 몰아붙여야 한다. 윤 장관의 유엔 인권이사회 연설을 위안부라는 반인륜 범죄에 대한 국제적 공론화의 디딤돌로 만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