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北 비핵화 프로세스 신뢰 걸린 폼페이오 4차 방북(2018.10.4.) |
한 달여 전 방문을 코앞에 두고 전격 취소됐던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평양행이 7일로 다시 확정됐으니 답보 상태이던 미·북 간 협상에 속도가 붙게 됐다. 헤더 나워트 국무부 대변인의 발표로는 폼페이오 장관은 당일치기로 평양에 갔다가 서울로 와서 문재인 대통령과 강경화 외교장관을 만나 방북 성과를 공유한다는 것이다. 그는 방북에 앞서 일본으로 가 아베 신조 총리와 고노 다로 외무상을 먼저 만난다. 또 한국 방문 후엔 베이징으로 건너가 중국 측 카운터파트와 만날 계획이다. 폼페이오의 빡빡한 일정을 보면 남북한 중국, 일본 등 모든 관계국과 조율하는 것이라 북한 비핵화 협상이 빠른 물살을 타는 모습으로 충분히 읽힐 만하다. 지난달 말 뉴욕 유엔총회에서는 미국과 북한 간에 얼핏 봐서는 종잡기 힘든 언급과 행보가 교차됐다. 폼페이오와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만나서는 평양을 방문해달라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초청을 폼페이오 장관이 수락했다고 밝혔다. 그렇게 해놓고 리 외무상은 사흘 후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일방적인 무장 해제는 없다며 미국의 선조치를 촉구하는 등 강경한 발언을 쏟아냈다. 조선중앙통신은 종전선언을 비핵화와 바꿀 흥정물이 아니라고 발표했다. 양측이 공개적으로 치열한 힘겨루기를 하는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 이런 샅바싸움으로 보건대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시기가 늦춰질 가능성도 점쳐졌는데 전격 발표한 걸 보면 막후에서 상당한 의견 접근을 본 것으로 관측된다. 폼페이오의 이번 방북은 네 번째인데 북한의 비핵화 이행 구체 조치와 종전선언 같은 미국의 상응 조치를 주고받는 빅딜을 마무리 짓는 게 우선 현안일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 간에 친서까지 주고받으며 합의한 2차 미·북정상회담의 일정도 논의 대상이다. 8월 말 방북하려다 돌연 무산됐던 상황과 비교하면 이번 방북 확정만으로도 양측 간 협상 진전일 수 있다. 북한이 요구한 종전선언과 제재 완화를 미국에서 받아들인 것이라면 북한 내 핵시설 리스트 제출 및 일부 핵무기 반출 같은 한 걸음 더 나아간 비핵화 이행 조치가 확실히 병행돼야 할 것이다. 폼페이오 장관이 평양에서 김 위원장을 만날 때 조금이라도 미진하거나 모호한 대목을 남기지 말고 깔끔하게 정리해야 한다. 폼페이오의 이번 방북에 북한 비핵화 프로세스 전체의 신뢰가 걸려 있다. |
'사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폼페이오의 평양 비핵화 담판, 지금부터가 더 중요하다(2018.10.8.) (0) | 2018.12.26 |
---|---|
[사설] 또 한 명의 전직 대통령에 대한 중형 선고를 지켜보며(2018.10.6.) (0) | 2018.12.26 |
[사설] 결국 금리인상 깜빡이가 켜졌다(2018.9.28.) (0) | 2018.12.26 |
[사설] 비핵화 속임수 안쓰겠다는 김정은, 행동으로 보여라(2018.9.27.) (0) | 2018.12.26 |
[사설] 파격적인 남북 군사합의, 불가역적 한반도 평화 시발점 되길(2018.9.20.) (0) | 2018.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