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리학생 입학 成大만인지 일제 점검하길(2012.9.20.)
성균관대가 고교 학생 때 성폭력 전력을 밝혀내고 문제학생을 입학 취소시킨 조치는 학교폭력 가해 학생이나 학생부 부실기재에 경종을 울려준 좋은 사례다. 장애인 여중생 집단성폭행에 가담했는데도 학생을 담임교사는 추천서에서 오히려 봉사왕으로 둔갑시켰다니 파렴치한 범죄 공모자인 셈이다. 특별감사를 벌인 대전시교육청이 담임교사는 물론 이를 방조한 교장과 부장교사를 중징계토록 해당학교 재단에 요구했는데, 응당한 제재가 반드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미 퇴직한 교장에게도 사후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 교육부는 이번 기회에 입학사정관제 전형을 실시한 전 대학에 유사한 허위추천서가 더 있는지 일제히 점검해보기 바란다. 성대 학생의 경우 집단성폭행 연루자가 합격했다는 내용이 트위터에 나돌고, 학교 측에 구체적 제보가 들어온 뒤 조사에 들어가 확인된 것이었다. 이미 입학한 학생의 과거 기록이 허위로 작성됐다면 이는 신고나 제보 아니면 가려내기 어려울 것이니 대학마다 이를 유도할 제도적인 장치를 강구해야 한다. 입학사정관은 신입생 선발 때 학생부는 물론 성장환경, 특기, 대인관계, 창의력 등을 종합적으로 따져본다. 따라서 교사추천서와 자기소개서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중요하다. 하지만 많은 대학들이 정규직으로의 전환 부담을 꺼려 해 입학사정관을 2년 이상 고용치 않아 전문성 문제가 제기되고, 턱없이 부족한 인원만 쓰기도 해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브로커를 통해 활동 경력을 허위로 조작했는 데도 가려내지 못하고 합격시킨 사례가 드러나기도 했다. 이렇게 구멍이 속속 드러나자 입학사정관제 폐지론이 나오는데, 이제 갓 도입한 제도이니 보완하며 시행하는 게 낫다고 본다. 고려대가 모집정원의 절반을 입학사정관제 전형으로 뽑는 것을 비롯해 경희대 성대 등 다른 대학도 비중을 늘리는 추세다. 입학사정관의 부정에 대해서는 지난 7월 처벌 규정을 이미 강화했다. 성의 없이 추천서를 남발하거나 조작한 교사의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관리하는 방안도 현실적인 대안이다. 학교 측은 조작된 자기소개서나 추천서에 대한 검증 장치를 강화하고, 수험생이나 교사는 과장이나 칭찬보다 진실을 보여주는 게 중요하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
'사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축은행 명칭에서 '은행' 빼는게 옳다(2012.9.26.) (0) | 2015.08.13 |
---|---|
추석 사기商魂 극성 정부는 뭐하고 있나(2012.9.25.) (0) | 2015.08.13 |
中반일시위는 81년 전 日업보 때문이다(2012.9.18.) (0) | 2015.08.13 |
美 양적완화 반짝 대선용이어선 안돼(2012.9.15.) (0) | 2015.08.13 |
금융권 고졸채용 실적뻥튀기 책임 물어라(2012.9.14.) (0) | 2015.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