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닛 옐런 미국 중앙은행(FRB) 의장이 지난달 말 한 콘퍼런스에서 양적 완화를 종료하고 나서도 상당 기간 초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지난달 첫 통화정책회의 때 양적 완화 종료 후 6개월 정도 지나 기준금리를 올릴 수 있다고 말해 세계 증시가 급락했는데 한 달 만에 후퇴한 것이다. 옐런 의장은 고용 부진을 강조하며 '여전히 경기 침체 불안감이 있다'거나 '경기 후퇴의 상처가 아직 남아 있다'는 식으로 신중한 자세를 견지했다. 일본에서는 어제부터 아베노믹스 핵심 과제인 소비세율 인상이 시작됐다. 17년 만에 5%에서 8%로 인상된 데 이어 내년 10월 추가로 10%까지 오른다. 향후 소비에 얼마나 충격을 줄지 봐야 하는데 여하튼 아베노믹스 성공을 좌우할 사안이다. 아베 정권은 경기 진작을 위해 5조5000억엔(약 56조원) 규모 부양책을 세워 놓고 있다. 하지만 1997년 소비세 인상 후 2분기부터 바로 성장률에 직격탄을 맞았던 전례가 있으니 노심초사하지 않을 수 없다. 중국에서는 지난달 초 리커창 총리가 올해 성장률 목표치 7.5%를 제시했음에도 안팎에서 회의적인 시각이 끊이지 않는다. 일부 국제투자은행들은 6%대 비관론을 제기할 정도다. 어제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3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3으로 4개월 만에 겨우 소폭 반등했지만 추세를 더 주목해야 한다. 미국과 유럽 경제가 회복 국면이라거나 아베노믹스 효과로 일본도 살아난다는 기대가 있었지만 아직 속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미국 테이퍼링(양적 완화 축소)과 금리 인상 여부는 국제투자자금 이동과 묶여 있으니 우리 금융시장과 경제 전체에 직결돼 있다. 대외 수출시장에서 26%를 차지하는 중국 경제 향배는 국내 수출기업들이 촉각을 곤두세워야 할 최대 관심사다. 소비세 인상으로 내수에서 고전하면 일본 기업이 수출에 사활을 걸 테니 우리 기업들엔 큰 부담이다. 한국 경제와 연관성이 높은 미ㆍ중ㆍ일 경제 동향을 제대로 읽고 대비해야 한다.
'사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사원, 규제 안 푼 部處 밝혀내 꼭 책임 물어라(2014.4.7.) (0) | 2015.08.27 |
---|---|
議員 해외출장시 외교관 동원않겠다 결의해야(2014.4.4.) (0) | 2015.08.27 |
北의 파렴치한 대통령 비난 자승자박이다(2014.3.28.) (0) | 2015.08.27 |
5억이상 연봉공개 경영가치 존중 출발점 돼야(2014.3.27.) (0) | 2015.08.27 |
한ㆍ미ㆍ일 회동 앞서 中정상 먼저 만난 외교전략(2014.3.25.) (0) | 2015.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