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일관계 개선 日경제인들이 더 나서야 한다 (2014.12.2.)
박근혜 대통령이 어제 청와대에서 일본 경제단체연합회(게이단렌) 사카키바라 사다유키 회장 등 대표단을 접견했다. 한·일 간 외교적 갈등이 사그라지지 않은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 일본 측 재계 관계자들과 만난 것이니 그 자체로 의미를 갖는다. 박 대통령은 이날 "기업인들이 외부 여건 변화에 흔들리지 않고 협력을 강화해 양국 관계 발전에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달라"고 했다. 일본 측도 민간 차원의 교류 활성화에 적극 동의했으니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의 지적처럼 한·일 관계에서 정치 문제와 경제 문제는 별도로 가는 게 맞다. 양국 재계가 어제 오전 서울에서 한일재계회의를 열었는데 7년 만이다. 우리 쪽의 전국경제인연합회와 일본 쪽의 게이단렌이 대표로 나서는 한일재계회의는 양국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는데 2008년부터 중단됐으니 소원해진 관계를 경제 분야에서도 그대로 투영한 듯하다. 그렇지 않아도 한·일 경제는 아베노믹스의 과도한 양적완화에 따른 엔저로 통화전쟁의 불꽃이 튀고 있다. 한국의 기업인은 이런 우려를 일본 측에 전달해 해법을 찾는 통로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양국은 이미 협상을 시작한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이라는 현안을 안고 있다. 또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이나 아시아·태평양 자유무역지대(FTAAP) 등으로 아시아 경제통합을 이뤄내는 과제도 풀어가야 한다. 한·일 간에는 국민 감정까지 더해진 과거사 문제에다 가속되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우경화 행보로 정치적 갈등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한류에 환호했던 일본인들이 혐한 감정을 감추지 않는 지경까지 왔다. 하지만 지난 9월 17개월 만에 차관급 전략대화를 가졌는가 하면, 양국 정상이 APEC 정상회의 약식 만남 때 현안에 대한 국장급 협의를 지속하기로 하는 등 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을 펴는 중이다. 위안부 문제 등에 대한 일본의 자세 변화가 필수적이지만 우리 측의 탄력적인 대응도 절실히 요구된다. 국가 관계에서는 원칙도 따져야 하지만 실리가 우선함을 곱씹어야 한다. |
'사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국고보조금 눈먼돈 만든 관리책임부터 물어라 (2014.12.5.) (0) | 2018.12.02 |
---|---|
[사설] 부동산 3법 등 경제법안 처리와 연금개혁 서둘러라 (2014.12.4.) (0) | 2018.12.02 |
[사설] 증시활성화 방안 機關자금 국내 몰빵 권장말라 (2014.11.28.) (0) | 2018.12.02 |
[사설] 정부와 韓銀, 디플레이션 처방 모범답안 내봐라 (2014.11.26.) (0) | 2018.12.02 |
[사설] 법정시한내 예산처리 先例 기필코 남겨라 (2014.11.25.) (0) | 2018.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