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日외상 방한 위안부 진전 넘어 한일관계 전기 되길(2015.12.26.)

joon mania 2018. 12. 6. 13:52

[사설] 日외상 방한 위안부 진전 넘어 한일관계 전기 되길(2015.12.26.)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이 한국을 방문해 오는 28일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만나 위안부 문제를 협의키로 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성탄절 전날 외상 방한을 전격 지시했다. 최근 우리 쪽에서 산케이신문 기자 무죄 판결과 한·일 청구권협정 위헌 각하 결정이 잇따라 내려지자 아베 정부가 나선 것이다.
최대 걸림돌이었던 위안부 문제에 박근혜 대통령은 올해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을 강조하며 연내 타결을 강조한 바 있다. 하지만 11차례의 국장급 협의와 정상 측근 간 물밑 접촉에도 결론을 못 냈다. 일본 측이 주한 대사관 앞의 소녀상 철거를 고집하는 외형적 갈등도 있지만 국가 차원의 책임 인정을 거부해왔기 때문이다. 이제는 아베 총리가 피해자에게 책임과 사죄를 언급하는 편지를 보내거나 일본대사가 이들을 만나는 방안이 검토된다는 얘기가 나온다. 일본 정부 차원에서 피해자 지원을 위한 새 기금 조성 소식도 들리니 방한 보따리에 성의 있는 조치를 담아와 전기를 만들기 바란다.
양국 관계 진전은 내년 2월을 넘어가면 또 실기할 수 있다. 2월 22일의 일본 시마네현 다케시마의 날 행사나, 우리의 3·1절 행사 등으로 접어들면 다시 감정의 골을 키울 수 있는 데다 한국의 4월 국회의원 총선과 일본의 7월 참의원선거로 국내 정치가 외교 문제를 덮어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은 내년 5월 도쿄에서의 G7 정상회의에 앞서 한·중·일 정상회의를 열어 박 대통령의 방일을 성사시키려 한다. 교착 상태인 한·일 관계는 양국 간 경제 협력은 물론 문화예술과 관광 등 정상적인 교류에 찬물을 끼얹고 있으니 빨리 해소해야 한다. 두 나라가 과거에 얽매여 감정 대립을 키워가는 것은 다음 세대와 미래를 위해서도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