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민의당, 중도세력 껴안는 대안 정당 꾸려보라(2016.2.3.)
안철수 의원 중심의 '국민의당'이 어제 창당대회를 갖고 공식 출범했다. 안 의원이 지난달 중순 독자세력화를 선언하며 옛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한 지 51일 만인데 천정배 의원과 함께 공동대표로 당을 이끈다. 6명으로 구성된 최고위원회도 가동하고 이번 국회의원 총선은 김한길 상임 공동선대위원장을 내세워 치른다고 한다. 원내 의석은 17석에 그쳐 교섭단체 자격을 얻지 못했지만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에 이은 제3당의 출현이니 한국 정치사에 또 하나의 기록을 더했다. 안 의원은 당초 탈당선언문에서 "정권교체를 이룰 수 있는 세력을 만들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섣부른 인사 영입과 취소 파동이나 한상진 공동창당준비위원장의 이승만 국부 언급 논란 등으로 정체성에 혼란을 주면서 기대와 지지가 가라앉고 있다. 이제 정당으로 모양을 갖춰 발진했으니 기존 새정치민주연합에서 떨어져 나온 한 분파 같은 이미지를 빨리 벗어던지기 바란다. 며칠 전까지 더불어민주당에 몸담았던 인사들이 당만 바꿔 새 정치를 하겠다고 나서는 건 꼴불견을 되풀이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특정 세력에 의존하는 정당은 극단적인 정책과 주장으로 지지층을 자극적으로 끌어간다. 기존 정당들은 대선과 총선을 치르며 거덜나는 나라 곳간은 아랑곳하지 않은 채 복지 확대라는 사탕발림으로 국민을 현혹했다. 진영 논리나 반대를 위한 반대에 빠져 아무리 경제 상황이 악화돼도 관련법을 처리하지 않은 채 움켜쥐고 있는 불임(不妊)정치만 키웠다. 국민은 이런 정치판에 변화를 줄 대안 세력을 원한다. 안철수 의원을 얼굴로 한 제3당에 쏠리는 시선은 대안정당에 대한 기대 때문임을 정확히 읽기 바란다. 국민의당 의원들이 한때 경제관련법 처리에 유연성을 보이자 민생 편에 서라는 주문이 쏟아지지 않았나. 국민의당은 특정 지역 기반이나 친노 패권정치에서 벗어난 야당의 모습도 보이면서 동시에 기득권에 안주하는 듯한 집권세력에 실망한 여당 지지층을 함께 흡수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른 시일 내에 당의 정강과 주요 정책에 이를 반영해 제시해야 한다. 중도의 박수를 받는 정치세력이 탄탄해져야 한국 정치에서도 합리주의와 실용주의가 자리를 잡을 수 있다. |
'사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선거구 획정 어떤 이유로든 더 미뤄선 안돼(2016.2.6.) (0) | 2018.12.06 |
---|---|
[사설] 내수살리기 정부 넘어 민간도 나서야 성과 난다(2016.2.4.) (0) | 2018.12.06 |
[사설] 中-日끼리 경협, 뒤통수 맞은 한국외교 다시 짜야(2016.1.28.) (0) | 2018.12.06 |
[사설] 제4이통 소비자 선택 넓히게 제대로 선정해보라(2016.1.25.) (0) | 2018.12.06 |
[사설] 野, 원샷법처럼 다른 경제관련법도 통크게 수용하라(2016.1.23.) (0) | 2018.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