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경제:서브프라임과 리먼 사태

美의회, 추가 경기부양책 제안(2008.4.7.)

joon mania 2015. 7. 25. 22:45

美의회, 추가 경기부양책 제안(2008.4.7.)




미국 고용 관련 지표가 크게 악화되면서 경기 침체 염려를 더 고조시키자 민주당이 2차 경기부양책 마련을 제안하고 나섰다.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노동부의 고용 관련 지표 발표 후 즉각 조지 부시 대통령에게 두 번째 경기부양책을 제안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고 뉴욕타임스가 5일 전했다. 


추가 부양책은 지난 1분기에 이미 마련해 다음달부터 시작되는 1680억달러의 세금 환급을 더 확대하는 내용이다. 


펠로시 의장은 "소비자와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고, 집을 잃을 위기에 처한 수백만 명의 시민을 지원하며, 물가 상승으로 고전하는 가정을 돕기 위한 일에 함께 협력할 필요가 있다"며 경기부양책 추가를 위한 초당적 협력을 요구했다. 


민주당 대선 후보 주자들인 버락 오바마 상원의원과 힐러리 클린턴 상원의원도 각각 성명을 통해 추가 경기부양책 및 실업자에 대한 지원 확대를 지지한다는 뜻을 밝혔다. 힐러리는 즉각적인 조치가 없으면 미국이 길고 고통스러운 경기침체에 빠져들 수 있다고 염려했다. 


반면 공화당의 대선 후보 존 매케인 상원의원은 세금을 낮추고 규제를 완화함으로써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면서 추가적인 경기부양책에 반대 의사를 고수하고 있다. 


노동부가 지난 4일 발표한 3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8만명 감소해 2003년 5월 이후 5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당초 2만2000명과 6만7000명씩 감소했던 것으로 발표됐던 1월과 2월 고용도 각각 7만6000명씩 감소한 것으로 수정돼 더 안 좋아졌다. 


이는 올해 1분기에만 미국에서 모두 23만2000개의 일자리가 사라진 셈이다. 


3월 중 실업률도 5.1%로 전월 4.8%보다 높아졌다. 허리케인 카트리나 피해가 발생했던 2005년 9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3개월 연속 고용 감소는 지난 2001년의 경기 침체 국면 때와 유사하며 미국 경제가 이미 침체에 진입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