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 세제혜택 늘리고 기한부 현금보조금 도입을"(2009.1.6) |
◆매경 샌프란시스코포럼◆ 4일 전미경제학회에서 로버트 먼델 컬럼비아대학 교수 등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들은 `세계 경제 어디로 가나`라는 주제로 열띤 토론을 벌였다. 1999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먼델 교수는 신용위기 극복과 관련해 민간 수요를 진작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한부 바우처제도(현금 보조) 도입을 제안했다. 먼델 교수는 "미국 정부가 감세 및 현금 보조 등을 통해 민간 수요를 진작시켜야 한다"며 "민간에 지원된 현금이 바로 소비로 이어져 수요 진작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3개월 내에 지원받은 돈을 소비자들이 모두 쓰도록 하는 기한부 특별 바우처제도(Dated Special Voucher)를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1970년대 초반 브레턴우즈 체제 붕괴 이후 변동환율제도가 도입되면서 달러화 가치 변동이 심해지고 또 금융위기가 빈발하는 재앙의 씨앗이 뿌려졌다"며 "달러화와 유로화 교환비율을 1대1.2 또는 1대1.4로 묶는 안정적인 환율 체제를 도입하고 다른 국가들이 이를 기초로 환율을 정하는 고정환율제도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2006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에드먼드 펠프스 컬럼비아대학 교수는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지나치게 낮추거나 높인다고 해서 경기 침체로 야기된 실업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금융정책은 부실자산에 대해 보증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풀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펠프스 교수는 그러나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를 통한 직접적인 재정 지출 확대를 골자로 한 케인스적 처방에 대해서는 염려를 표명했다. 그는 "정부의 SOC 투자는 결국 정부 명령에 따른 톱다운 방식 경제 구조를 통해 민간의 창의적인 혁신을 저해하고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이윤 창출과 고용을 저해하게 된다"며 "벤처캐피털 등 시장에 의한 혁신이 새로운 꽃을 피울 수 있도록 민간에 대한 현금 지원이나 세제 혜택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펠프스 교수는 이를 위해 투자를 늘리거나 고용을 유지 또는 늘리는 기업에 세제혜택을 제공하고 민간에 대해 현금 보조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별취재팀 = 조경엽 국제부장(부국장) / 윤경호 기자 / 위정환 특파원 / 김경도 특파원 / 노영우 기자 / 이근우 기자] |
'미국 관련 일반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경 - KAEA 이코노미스트상, 최연구 교수 (2009.1.6) (0) | 2015.08.01 |
---|---|
노벨상 석학 "한국, 인재의 힘으로 위기 이겨낼것"(2009.1.6) (0) | 2015.08.01 |
세계경제는 타이타닉호 고쳐서 끌고 나가야(2009.1.5) (0) | 2015.08.01 |
美에 확산되는 보호무역론 (2009.1.5) (0) | 2015.08.01 |
ADB "韓中日 단일통화 시급" (2008.1.5) (0) | 201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