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朴대통령 업무복귀 총리 지명으로 시작해야 (2015.5.4.)
중남미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뒤 와병 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이번주부터 공식 일정을 재개할 것이라고 한다. 4일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할 가능성이 있고, 5일엔 연례적으로 해 온 청와대 경내 어린이들 초청행사를 치른다. 업무 복귀는 대통령의 건강상태를 보고 결정할 일이겠지만 처리해야 할 현안들이 산적해 있으니 마냥 늦출 수는 없을 것이다. 무엇보다 성완종 리스트 파문으로 비어 있는 국무총리 후임자 지명은 어떤 이유를 막론하고 지체해서는 안 된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이 지난 1일 "담당 부서에서 관련 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으니 실무작업은 당연히 진행되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박 대통령의 업무복귀 첫 조치는 후임 총리 후보자 발표여야 한다. 불과 3년차인 박근혜정부가 그동안 지명했던 5명의 총리 후보 중 3명이 청문회에도 못 가고 낙마했던 트라우마를 모르는 바 아니다. 청문회 통과가 최우선이겠지만 기본적으로 도덕성과 업무 추진력을 갖춘 인물이 필요하다. 개혁 의지도 있으면서 미래를 향한 비전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위로는 대통령에게, 다른 쪽으로는 국민을 향해 설득할 수 있는 소통능력도 지녀야 한다. 야당의 의견을 반영하고 국민통합을 이뤄낼 인사면 더 좋겠다. 진통을 거듭한 공무원연금개혁 협상과정에서 보듯 한국경제엔 난제가 수두룩하다. 노동시장과 공공 및 교육 등 후속 개혁작업과 경제살리기를 위한 여건 조성에 총리의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역대 최단명에 그친 이완구 전 총리의 도중하차는 검은돈 수수 여부를 떠나 당장의 곤경을 벗어나려고 내두른 거짓말과 잦은 말 바꾸기로 국민의 신뢰를 잃었기 때문이다. 이명박 정부 때 2년5개월 재임해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 최장수로 기록된 김황식 전 총리는 '존재감이 없는 게 목표하는 바'라며 몸을 숙이며 일했지만 되레 박수를 받았다. 대통령이 힘을 실어주는 책임총리도 있었지만, 대독이나 방탄에다 의전총리라는 오명만 쓴 경우도 적지 않았다. 새 총리로 어떤 인물이 중용되느냐는 박 대통령의 선택에 달렸다. 그동안의 편협한 수첩인사에서 벗어나 인재 풀의 범위를 과감히 넓혀야 한다. 나라부터 살린다는 심정으로 국민을 납득시킬 현명한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다. |
'사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홍준표 소환계기 성완종리스트 수사 속도 높여라(2015.5.9.) (0) | 2018.12.04 |
---|---|
[사설] 정치권 票퓰리즘 결국 국민이 막을 수밖에(2015.5.6.) (0) | 2018.12.04 |
[사설] 美日신동맹을 보면서 한국외교가 재정립해야 할 것(2015.5.1.) (0) | 2018.12.04 |
[사설] 한국 외교전략 총체적 결함없나 재점검할 때다(2015.4.29.) (0) | 2018.12.04 |
[사설] 朴정부 6번째 총리지명카드 국민이 바라는 것(2015.4.22.) (0) | 2018.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