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홍준표 소환계기 성완종리스트 수사 속도 높여라(2015.5.9.)
홍준표 경남지사가 어제 소환되면서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에 적시된 8인에 대한 공식적인 검찰 수사가 이제야 막을 올렸다. 지난달 12일 특별수사팀을 구성하고 26일 만에 피의자 신분으로 처음 부른 것이니 더딘 행보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홍 지사는 한나라당 대표 경선 때인 2011년 6월께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에게서 1억원을 받은 혐의다. 일이 불거진 뒤 홍 지사 측근들이 돈 전달자로 지목된 이에게 말 맞추기나 회유를 시도했다는 의혹도 있어 홍 지사가 이를 지시했거나 묵인 또는 방조했다면 증거인멸교사 혐의도 적용될 수 있다. 성완종 리스트 수사는 외형상 금품 로비사건인 만큼 공여자 진술을 토대로 이뤄져야 하나 성 전 회장 자살로 인해 다른 방법으로 규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보궐선거 출마 때 선거사무실에서 3000만원을 건네받았다는 논란을 빚은 이완구 전 국무총리도 비슷한 상황이다. 문제는 리스트에 있는 이들 면면을 볼 때 단순한 금품로비를 뛰어넘어 불법 대선자금 수수로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이다. 2012년 대선 때 선대위 조직총괄본부장이었던 홍문종 의원이나 대선후보 캠프 핵심이었던 허태열·김기춘 전 비서실장 등이 메모에 적시돼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검찰은 수사 논리와 일정대로 가고 있다며 구체적인 계획을 밝히지 않는다. 불법 정치자금 전반으로 범위를 넓힌다거나, 성 전 회장에 대한 사면을 둘러싼 의혹을 캐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물타기라는 말을 듣지 않으려면 우선순위를 분명히 설정해야 한다. 검찰은 성완종 리스트에 명기된 이들에 대한 금품수수 여부부터 신속히 규명하고 속도도 최대한 높여야 한다. 검찰이 엄정하고 신속히 진상규명을 한다면 특검 요구도 줄어들 수 있다. |
'사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안심대출·임금피크제 지원 주먹구구 정책 아닌가(2015.5.14.) (0) | 2018.12.04 |
---|---|
[사설] 지속되는 수출감소 뭔가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2015.5.12.) (0) | 2018.12.04 |
[사설] 정치권 票퓰리즘 결국 국민이 막을 수밖에(2015.5.6.) (0) | 2018.12.04 |
[사설] 朴대통령 업무복귀 총리 지명으로 시작해야(2015.5.4.) (0) | 2018.12.04 |
[사설] 美日신동맹을 보면서 한국외교가 재정립해야 할 것(2015.5.1.) (0) | 2018.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