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6년만에 복원된 한일 셔틀외교 활용해 닫힌 빗장 열어보자(2017.7.10.)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방문한 독일 함부르크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지난 7일(현지시간) 만나 정상 간 셔틀외교를 복원하기로 한 것은 양국 관계에 큰 의미를 갖는 결정이다. 셔틀외교는 한일 정상 간에 실무형 상호 방문 형식으로 갖는 만남인데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과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일본 총리 간 합의로 시작됐다가 2011년 12월 이명박 전 대통령의 도쿄 방문을 마지막으로 이후 중단됐다. 이번 셔틀외교 복원 합의로 두 정상이 기회 있을 때마다 만나 각 분야에서 협력을 논의하면 그동안 양국 간에 드리워졌던 빗장을 걷어낼 수 있을 것이다. 양국 정상은 위안부 합의를 둘러싼 갈등에서는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아베 총리는 합의 이행을 강조한 반면 문 대통령은 한국 국민 다수가 정서적으로 합의를 수용하지 못하는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위안부 문제가 양국의 다른 관계에 걸림돌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문 대통령이 강조한 대목에서 정상 간 셔틀외교 복원의 상징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듯하다. 양국은 가해자와 피해자로 얽힌 아픈 역사를 갖고 있지만 가장 가까운 이웃으로서 경제와 문화, 인적 교류에서 어느 나라보다 밀접해야 하는데 감정의 앙금이 비정치적 분야까지 가로막고 있으니 빨리 풀어야 한다. 역사와 현실을 나눠 다루는 투트랙의 실용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번 만남에서 두 정상이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에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데 주목한다. 문 대통령은 "과거 역사적 상처를 잘 관리하면서 미래지향적이고 성숙한 협력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협력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전략적 이익을 공유하는 중요한 이웃인 한국과 미래지향적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정상 간 긴밀한 소통을 토대로 협력하자"고 화답했다. 독일에서의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문 대통령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사태 후 공백 상태였던 정상외교를 복원한 점도 의미가 크다. 아베 총리와의 셔틀외교 복원 합의 외에도 한·미·일 정상회담과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 핵미사일 도발에 대한 훨씬 강한 제재와 압박을 가하기로 했고, 한·중·일 정상회담도 이른 시일 내 갖자고 의견을 모았으니 나름 성과를 거둔 셈이다. |
'사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미국의 한미FTA 개정 요구, 한국 꿀릴게 없다(2017.7.14.) (0) | 2018.12.17 |
---|---|
[사설] 버스·트럭 공포의 질주 막을 두 가지 제도적 장치(2017.7.12.) (0) | 2018.12.17 |
[사설] 韓美日 대북압박 더 긴밀한 공조로 국제사회 동참 끌어내라(2017.7.8.) (0) | 2018.12.17 |
[사설] 에너지 전공교수 417명의 탈원전 반대 목소리 경청하라(2017.7.7.) (0) | 2018.12.17 |
[사설] 北 ICBM 도발 보고도 시진핑은 사드 계속 반대할 수 있나(2017.7.5.) (0) | 2018.12.17 |